사회주의 페미니즘1 생산 혹은 재생산을 위한 인지적 지도 그리기: 가사노동논쟁, 사회재생산 이론에 대한 비판적 메모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년 가을학술대회 자료집(pp.73-99)에 선게재된 글입니다. pdf는 맑스코뮤날레 월례모임 발표를 위해 수정 및 보완된 버전입니다. 인용은 [진보평론] 80호에서 찾아 하시면 됩니다) (생산 혹은 재생산?)을 위한 인지적 지도 그리기:가사노동논쟁, 사회재생산 이론에 대한 비판적 메모 정강산 1. 들어가며 외환위기 이후 사회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심화되어온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신경아, 2016)은 여성이 경제적 주체로 자리매김하며 사회의 제영역에서 여성의 발언권이 강화되어 온 원인으로 지목되곤 한다. 주요 평가 지표로 노동시장에의 참가[각주:1]를 상정하고 있는 유엔개발계획(UNDP)의 2018년 성불평등지수(Gender Inequality Index)에서 한국이 아.. 2018. 12.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