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변증법2

󰡔사회, 총체성, 그리고 역사Society, totality, and history󰡕 Rene Magritte ,In Praise of Dialectics(1937) Ross Wolfe[번역: 정강산] 변증법은 직접적인 정의를 피한다. 당연하게도, 변증법이 무엇이 아닌지를 말하는 것이, 그것이 무엇이라고 말하는 것보다 쉽다. 라살레Ferdinand Lassalle에 대적하여, 마르크스는 엥겔스에게 보낸 한 편지에서 “헤겔은 결코 수많은 구체적인 경우들을 일반 원리 아래 포함하는 것을 변증법이라고 서술한 적이 없다”고 언급했으며, 따라서 “(라살레의:역주)그 변증법적 방법은 잘못 적용되었다”1고 결론지었다. 블라디미르 레닌 역시 마찬가지로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설립자인 게오르기 플레하노프Georgii Plekhanov가 변증법을 “사례들의 총합”으로서 다룸으로써 오류에 빠졌다고 지적했으며,.. 2017. 6. 2.
T.W.아도르노, <사회학 강의>, 세창출판사, 2014. 3강. 45-63p. 발제문 Olja på duk, Textilarbeterskor(1927) 핵심어: 사회, 실증주의, 객관적인 운동법칙, 현상, 본질, 부분, 전체, 개인, 사회, 매개 3장에서 중심적으로 다뤄지는 것은 (변증법적)사회학의 대상 설정과 사회학의 목표, 이를 통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우선 아도르노는 사회학의 대상들을 선택함에 있어 본질적인 것에 대한 파악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그러한 본질은 “확실한 직접성에 본질적인 물음들이 향하는 것보다도 훨씬 완벽하게 본질이 나타나는 현상들”(45)에서 나타날 것이라 말한다. 그에게 본질적인 것은 언제나 현상형태로써, 현상을 통해서 드러나야 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현상들 자체로는 환원되지 않는 무엇이며, 이는 그가 상정하는 개인과 사회, 주체와 객체의 대립에도 .. 2017.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