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번역]Did the Bolsheviks Advocate Socialist Revolution in 1917?

by 정강산 2018. 7. 18.

볼셰비키는 1917년 사회주의 혁명을 옹호했는가?

(Did the Bolsheviks Advocate Socialist Revolution in 1917?)





Eric Blanc

에릭 블랑

번역: 정강산

원문: http://www.historicalmaterialism.org/blog/did-bolsheviks-advocate-socialist-revolution-1917

 

 

에릭 블랑은 뉴욕 대학에서 사회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그는 곧 출간될 연구서 <-식민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차르 국경지방에서의 억압과 혁명>(브릴 출판사, 역사유물론 저서 시리즈)의 저자이고, 올해엔 러시아 혁명에 대한 일련의 논설을 발행해왔다. 다음의 링크에서 그의 작업들을 볼 수 있다.

“Before Lenin: Bolshevik Theory and Practice in February 1917 Revisited”

http://www.historicalmaterialism.org/blog/before-lenin-bolshevik-theory-and-practice-february-1917-revisited)

 

“A Revolutionary Line of March: ‘Old Bolshevism’ in Early 1917 Re-Examined”

http://www.anotherworld.kr/520

 

최근 차이나 미에빌의 저서에 대한 저자와의 토론에 관해서는 여기를 참고하라.

http://www.anotherworld.kr/534

 

과거에 대한 비판적인 개입은 현재를 비판적으로 마주하는 데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자리한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이후 100, 1917년과 볼셰비키 당에 대한 우리의 이해 상당부분은 축적된 신화와 통념에 의해 흐릿한 것으로 남아있다. 이들 중 아주 중요한 것은 V.I.레닌이 19174월에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대신 사회주의를 위해 투쟁하라고 당을 설득시킴으로써 볼셰비키의 정치를 정비했다는 주장이다.

 

흥미롭게도, 레닌이 어떻게 볼셰비키를 재 무장시켰는지에 대한 이 설명은 트로츠키주의자, 스탈린주의자, 그리고 자유주의자들에 의해 똑같이 공유되는 몇 안 되는 합의점 중 하나다. 트로츠키의 영향력 있는 반론인 1924년의 <10월의 교훈(The Lessons of October)>에 따르면, 4월에 레닌이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투쟁하려 당을 재 무장시키기 전에, 볼셰비키는 이오시프 스탈린과 레프 카메네프의 지도하에 사실상 멘셰비즘으로 빠졌다.

 

트로츠키는 그들이 러시아가 이 과업[사회주의 혁명]에 대해 충분히 성숙했다고 간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참 볼셰비키지도자들이 임시정부에 압력을 넣음으로써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는 게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취했다고 주장했다[1]. 학계의 역사가들 대부분 역시 마찬가지로 이러한 식견을 공유해왔다.[2]

 

비록 표준적인 스탈린주의적 분석은 전략적 불화의 범위와 4월 이전 당의 동요에 대한 책임이 면제된 스탈린에 대해 트로츠키보다 덜 강조할지라도, 그것은 이[트로츠키식 설명]와 현저히 유사하다.

 

예를 들면, 볼셰비즘의 역사에 대한 고전적인 스탈린주의식 요약은 3월의 카메네프와 같은 당 지도자들의 준 멘셰비키적입장을 비난하고, 다음과 같이 단언했다. ‘당은 새로운 노선을 따라 과감하고 자신 있게 발전할 새로운 방향을 필요로 한다. 레닌의 4월 테제는 당에게 부르주아 민주주의에서 사회주의 혁명으로의 이행을 위한 명민한 투쟁 계획을 정해주었다.’[3]

 

불행히도, 이 역사기술적 합의는 사실 부정확하며, 1917년 볼셰비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왜곡시켜왔다. 이 논설에서 나는, 4월에서부터 10월까지, 국가 권력과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볼셰비키의 태도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 보여줄 것이다.

 

러시아, 라트비아, 독일의 일차 자료들에 대한 내 조사에 근거하여, 나는 가용한 증거들이 [레닌이 4월 테제로 혁명의 방향을 극적으로 전환시켰다는]표준적인 재 무장설명을 확인시켜주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줄 텐데, 이 표준적 설명은 훨씬 더 복잡한 내부 논쟁과 정치의 전개를 이해하기 어렵게 해왔다.

 

우리는 볼셰비키가 그 해 전반에 걸쳐 국제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급박함에 맞춰 그들의 정치를 했음에도, 러시아 자체 내부에서 그들의 방향은 사회적으로 상당히 야망 없이 남아있었다는 점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부상하는 소비에트 체제에 대한 계급지도를 비롯하여- 여려 결정적인 쟁점들에서 볼셰비키는 전체적으로 10월 내내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한 접근을 유지했다.

 

1917년의 과정에 걸쳐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당의 중요한 정치적 발전이 있었지만, 이것은 불균일하고, 오랜 시간이 들었던 것이었고, 주로 계급투쟁에서의 계속되는 발전에 대한 응답이었다.

 

이 역사를 바로 보는 것은 중요한데, 이는 단지 정확성의 이유에서 뿐 아니라, 그 사례가 계속해서 오늘날의 마르크스주의 정당에 영감을 주고 마르크스주의 당을 특징짓는 볼셰비키 당의 진정한 성격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라도 그렇다. ‘재 무장이라는 설명은 결과적으로 그 간부층의 축적된 경험과 기여를 통해 집단적이고 전투적으로 발전한 조직의 영역을 축소하면서 볼셰비키의 방침을 결정하는 레닌의 능력을 문제적으로 부풀려왔다.

 

게다가, 1917년의 논쟁들의 성격을 지나치게 간소화함으로써, 그 지배적인 역사기술은 필연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계급투쟁의 동학에 직면하여 효과적인 사회주의 정치를 추구하는 것에 대한 내재적인 난점들과 도전들을 축소해왔다. ‘재 무장해석에 의해 주어진 인상과는 반대로, 성공적으로 반자본주의적 파열을 향한 공격을 행함에 있어 혁명적 이론은 필수적이지만 불충분한 기초였다.

 

이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 검토들과는 달리, 여기서 초점이 되는 것은 레닌의 저술들이 아니다. 이들[레닌의 저술들]은 의심의 여지없이 중요했으며, 흔히들 말하는 그 내용은 개략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전략적으로나 전술적으로나 그 자체로 유동했던)레닌의 접근이 1917년 볼셰비키의 지도층 혹은 평당원들의 접근과 동일시될 수 있다는 것은 거의 사실이 아니다.

 

우리가 다른 볼셰비키 지도자들과, 지역과 지방의 당 기구들, 공적 연설들, 대중 전단들을 포괄하는 데까지 우리의 자료 기반을 넓히면, 어떤 독특한 정치적 설명이 나타난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의 분석적 관심을 페트로그라드에서 러시아 제국의 가장자리와 지방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확장시키는 것은 볼셰비즘의 범위(ballpark Bolshevism)’, 즉 모든 층의 볼셰비키 간부층에 의해 일반적으로 공유되고 그들에 의해 제국 전역의 노동자들에게 투사된 핵심적인 정치적 태도라 부를 법한 것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한다.

 

우리의 논의는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요구에 있어 볼셰비키에 의해 기인한 함의와, 그들이 러시아에서 혁명적 과정이 전개되는 것을 설명하는 방법에 대한 혼동스럽게 넓은 열거를 도표화함으로써 시작될 것이다. 그로부터 우리는 세계 사회주의 혁명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는- 볼셰비키의 명백한 합의가 있었던 어떤 질문으로 향한다.

 

이어지는 부분에선 볼셰비키가 [작업장에 대한]노동자들의 통제가 필요하고 시급하나, 자본주의적 생산은 서구권이 사회주의로 나아가지 전까지 폐지될 수 없다는 데에 일반적으로 동의했다는 것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사회주의 혁명에 관련된 최고의 당면 논점-, 기획된 혁명 정부의 정치적 구성-에서, 헤게모니를 쥔 볼셰비키의 접근은 그 해 대부분의 시간 동안 대수적인(algebraic) 것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대부분이 다른 사회주의 조류들이 완전히 부르주아지와 관계를 끊는 것에 달려있었기 때문에, 소비에트 통치에 대한 엄밀한 계급정당의 구성이 10월 혁명 내내 예측하기 힘든 것으로 남아있었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 우리는 페트로그라드에서의 그 유명한 연말의 사건에 관한 개관으로 결론을 지을 텐데, 여기서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권력을 지지하길 완고하게 거부한 온건 사회주의자들 때문에, 결국 프롤레타리아 주도의 정부를 추진했다.

 

 

소비에트 권력의 의미

 

4월에 볼셰비키 조류 내부에서의 레닌의 개입 효과를 둘러싼 혼란의 상당부분은 내부 논쟁들이 부르주아 임시정부로 결정적으로 후퇴하느냐 혹은 노동계급을 위한 소비에트 체제로 나아가느냐를 중심으로 이뤄졌다고 전제 되어왔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사실은 라스 리(Lars Lih)가 여러 글들에서 보여줬듯이, 19173월 볼셰비키 지도부가 이미 소비에트 정부가 임시정부를 대체할 것을 공개적으로 옹호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사안에 대한 실제적인 논쟁은 없었다.[4] 그로서, 4월에 당의 정치적 진전은 일반적으로 주장되어온 것보다 훨씬 덜 중단되었다.

 

재무장서사에 대한 기록의 토대 대부분은 4월 레닌의 도착을 염려하는 멘셰비키의 표명들로부터 나온다. 허나 우리는 이들을 꽤 걸러 들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멘셰비키는 그들의 라이벌의 극단주의를 시종일관 과장했고, 항상 볼셰비키를 레닌의 손 안에든 허수아비로 표현할 길을 찾고 있었기 때문이다.[5]

 

표준적인 설명에 대한 그 밖의 주요 원천은, 레닌의 지도의 천재성을 강조하고, 볼셰비키가 4월부터 전방에서 사회주의 혁명을 주창했었다고 주장하는 것이 둘 다 당의 모든 분파들에게 정치적으로 편리한 것이 되었던 이후로- 문제적인 1920년대 볼셰비키의 잘 쓰인 전기 문학(memoir literature)으로부터 나온다.[6] 우리가 1917년에 볼셰비키가 실제로 말한 것과 쓴 것을 보면 어떤 상이한 그림이 나타난다. 자칭 고참 볼셰비키지도자 칼리닌(Kalinin)424일부터 29일까지 열린 전 러시아 볼셰비키 대회에서 주장했듯,

 

혁명 기간 도중의 우리의 첫 번째 기록- , 227일에 있었던 우리 당의 선언을 읽어보라. 당신은 혁명과 전략들에 대한 우리의 구상이 레닌 동지의 테제들과 뜻을 달리하지 않았다는 점을 알게 될 것이다. 물론 레닌 동지에 의해 개략적으로 묘사된 구상은 전체적이고, 완결적이지만, 그 사유의 방법론은 고참 볼셰비키들의 방식으로서, 그것은 이 혁명의 독창성을 다룰 수 있었다. ‘보수주의자로서, 나는 우리 고참 볼셰비키의 방법론이 현재에도 실로 적절하다고 보며, 우리[고참 볼셰비키]와 레닌 동지 사이에서 어떤 중대한 차이도 찾을 수 없다.”[7]

 

일반적으로 가정되는 것과는 달리, 레닌도, 볼셰비키의 풍조도 1917년에 소비에트 권력을 노동자들의 권력과 같은 것으로 동일시하지 않았다. 소비에트(평의회)는 그저 노동계급 보다는 더 큰 인구의 부분을 대표했다. 4월에 레닌이 썼듯, ‘보는 바와 같이, 이들 소비에트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농민, 병사, 즉 프티 부르주아지이다.’[8]

 

비슷하게, 카를 라데크(Karl Radek)9월에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905년의) 노동자 대표들의 대회가 (19172월의) 노동자와 병사의 대회로 변형된 것은 따라서, 프롤레타리아 투쟁 기관이 혁명적 민주주의 기관, 즉 유력한-그리고 심지어 인위적으로 할당된-프티 부르주아 다수의 기관으로 변형된 것을 의미했다.’[9]

 

19176월엔 대략 3,700만 명이 평의회에 의해 대표되었는데, 이는 11월의 제헌의회선거에서 투표된 것보다 단지 700만 명이 작은 숫자였다.[10] 소비에트의 계급적 성격을 정의한 것은 그들이 노동자들의 조직이라는 데에 있는 게 아니라, 그들이 명백하게, 의식적으로 비-부르주아의 기관이었다는 데에 있었다.

 

자신이 부르주아 민주주의 단계를 건너뛰려하고 있었다는 주장을 물리치면서, 레닌은 4월에 자신이 노동자 정부를 요구하고 있던 게 아니라 외려 노동자들, 농업 노동자들, 병사들, 그리고 농민들의 소비에트 체제를 요구했음을 강조했다.[11]

 

비록 레닌은 개인적으로 소비에트 권력을 어떤 코뮌 단계’, 사회주의를 향한 디딤판이자 민주주의의 높은 형태로 간주하였으나, 1917년 내내 노동자들과 볼셰비키 다수에게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요구는 부르주아지가 없는 정부를 설립하는 것을 의미했다.[12]

 

이는 명백히 매우 급진적인 관점이지만, 1905년부터 볼셰비키와 그 외 러시아의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해 주창되었었던 관점이기도 하다. 1917년에, 볼셰비키의 대중 선동에서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다른 당의 간부층에 대한 글에서도,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레닌의 특수한 해석은 현저히 부재했다.

 

많은 볼셰비키들은 4월 후에 일반적으로 소비에트 권력을 위한 투쟁을 민주주의 혁명의 요소로 계속해서 간주했다. 그 해 여름에 모스크바 소비에트에게 얘기를 건네면서, 한 볼셰비키 지도자는 이렇게 주장했다.

 

우리가 소비에트로 권력을 이양하는 것에 관해 얘기할 때, 이는 권력을 프롤레타리아트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소비에트는 노동자, 병사, 농민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혁명은 부르주아 민주주의적이기에, 그것은 우리가 지금 사회주의 혁명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13]

 

1917년 볼셰비키와 노동계급에 의해- 소비에트 권력에 돌려진 실제 의미를 이해하지 않고선, 그 해 전반에 걸친 당의 입장들과 논쟁들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4월에 볼셰비키 회의에서 통과된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결의안을 생각해보라. ‘재 무장설명에 따르면, 이 회의는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요구를 소비에트 체제에 대한 요구로 구체화시켜냈다.

 

허나 사실, 그 회의는 어떤 다수결 대의 기관이든 새로운 혁명적 권력을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공표했다. , 그것[4월의 회의]혁명의 두 번째 단계- 모든 국가 권력을 소비에트 혹은 인민 다수의 의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다른 기관(지역 자치 기관들, 제헌 의회, 등등)에 이양해야 하는 단계로 당을 정위시키길 요구했던 것이다.[14]

 

다시 말해, 소비에트와 제헌의회는 1917년에 민주주의혹은 혁명적 민주주의’, 즉 노동자-농민의 과반수(majority)라 언급되었던 것에 대한 기구로서 역할을 할 것이었다. 레닌과 트로츠키 모두를 포함하여, 볼셰비키는 10월 혁명 내내 시종일관 소비에트와 제헌의회 양자에게 권력을 부여해야 한다고 유세했다. [따라서]4월 전후 사이의 볼셰비키의 접근에서 중요한 차이는 제헌의회에 대한 요구가 버려지거나 부차적으로 된 점에 있는 게 아니라, 소비에트 권력이 후자[제헌의회]를 향한 임시적인 수단으로서는 덜 빈번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기관 사이의 정확한 관계는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남았는데, 왜냐하면 이것이 명백히 양자의 구체적인 정치적-선거적(political-electoral) 구성에 달려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10월 봉기 전야에 볼셰비키 지도층에게 보낸 내부 편지에서, 레닌은 일단 권력이 소비에트의 손에 쥐어지면제헌의회의 성공은 보장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볼셰비키가 수천 번 그리 말해왔으나 아무도 그에 이의를 제기하려 한 적이 없다고 썼다. 모두가 이 (국가의)[이중권력으로]“결합된 유형을 인정했다.[15]

 

1917년 이후 볼셰비키와 온건 사회주의자들은 똑같이 민주주의를 (프롤레타리아의)독재와 대치시켰고, 민주공화국을 소비에트 공화국에 대치시켰는데, 이러한 개념들이 혁명의 첫 번째 해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요구의 본질에 관해 말하자면, 왜 봄에, 임시정부를 소비에트 체제로 대체하자는 4월 테제에 반대하는 오직 하나의 주류 볼셰비키 계열의 의원회가 있었는지는 이해할 만하다. 그리고 심지어 이러한 예외는 일반적인 법칙을 증명하는데, 이러한 반발은 [우크라이나의 수도]키예프(Kiev)에서 나왔으며, 그곳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위원회가 게오르기 플레하노프(G.V. Plekhanov)멘셰비키 당조류의 이전 구성원들에 의해 이끌어진 곳이었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에 의해 지도되어, 2월과 3월에 키예프의 위원회는 러시아 프롤레타리아트의 전략적 관점이 부르주아 정부가 자신의 요구를 인정하도록 압력을 넣는 것으로 제한되어야만 한다고 계속해서 주장했다.

 

즉 페트로그라드 볼셰비키 지도부와는 달리, 키예프 위원회는 민주적 혁명을 쟁취하기 위해 노동자와 농민이 권력을 잡는다는 관점을 제기하지 않았다. 중요하게도, 4월 테제에 대한 그 위원회의 입장-최근 한 우크라니아인의 연구가 기록했듯, ‘그 나라에서 레닌의 생각에 대한 최대 규모의 철저한 반발’-고참 볼셰비즘보단 좌파 멘셰비즘의 전략에 전제를 뒀다.[16]

 

키예프 위원회에 따르면, 러시아는 사회주의 혁명에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롤레타리아트는 권력을 잡은 부르주아지가 그들의 민주적, 경제적 요구들을 인정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데까지만 제한을 둬야 했다. 멘셰비키처럼, 키예프의 지도자들은 임시정부를 전복시키는 것을 사회주의 혁명과 합체시켰다. , ‘[임시]정부의 패배와 사회주의 혁명은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이를 위한 경제적 전제조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17]

 

그러나 이 내부의 반발은 외려 얼마 못간 것으로 드러났다. 415-17일 키예프의 지역 볼셰비키 회의에선, 4월 테제에 대한 광범한 논쟁 이후, 참여자들의 압도 다수가 지역 지도자들의 방침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대중적인 정서에 굴복하여, 피아타코프(Gueorgui Piatakov)와 키예프의 나머지 지도층은 소비에트 권력을 위한 투쟁에 반대하길 포기했다.

 

4월은 볼셰비즘에 있어 전략적 파열이라기보다는 정치적 진전의 계기를 남겼다. 키예프에서 보인 것과 같은 실제적인 정치적 반발은 좀처럼 드물었으나, 4월의 논의들은 제국 전역에서 정치적으로 볼셰비키가 응집하는 데에, 그 해 초기에 있었던 그들의 우유부단함을 잘라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임시정부를 향한 날카로운 공격은 4월의 회의 이후로 박차가 가해졌다. 제국을 가로질러 지역 볼셰비키 활동가들은 처음으로 계속해서 소비에트 체제에 대한 요구를 중시하기 시작했고, 향후 이는 일시적인 권력으로서는 덜 빈번하게 그려졌다. 그들 스스로를 타협적인 사회주의자들과 명백히 구분할 필요가 또한 더 널리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진전의 상당부분이 레닌의 영향을 얼마나 받았는지, 혹은 급격히 변화하는 정치적 상황에 얼마나 달려있었는지는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 허나 3월엔, 임시정부는 변화에 대한 대중적인 요구들과 반대되는 어떤 주요 법안도 공개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초기 볼셰비키의 동요는 일반적으로 2월 이후의 도취감에 대한 적응을 반영했고, 러시아에서의 이러한 분위기는 한 달을 넘어 지속되지 않았다.

 

4월은 정부가 승리할 때까지전쟁을 지속시킬 것을 계획했다는 폭로에 대응하는 노동자들의 육중한 항의로 자국이 남겨졌다. 이내 잘 알려지게 될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이 4월의 시위들에서 처음으로 시위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소비에트 지도부는 처음에 임시정부를 앞으로 밀어붙이려 실제로 싸웠었던 반면, 4월 초 이후로 점차 부르주아 체제에 기대고, 대중의 호전성을 꺾는 데에 집중했다. 이는 5월 초 임시정부로의 온건사회주의자들의 유입에서 정점에 달한 방향이었다.

 

임시정부에 맞선 전례 없는 프롤레타리아트의 격앙과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우파로의 격심한 이동의 한복판에서, 제국 도처의 많은 볼셰비키들이 더 호전적이고 독립적인 입장을 취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제헌의회의 소집이 정부에 의해 계속해서 불명확한 지평으로 밀려지게 되면서, 그에 상응하여 노동자들의 눈엔 소비에트의 권위와 영속성이 높아졌다. 특히 어떤 기존의 국가 의회도 부재하는 상황에서, 소비에트는 노동계급의 유력한 민주적 표현기구가 되었으며, 그들은 점점 더 자신들의 감응과 열망을 거기에 쏟았다.

 

4월 말부터 계속 볼셰비키는 쉼 없이 리플렛을 찍어내고, 쉼 없이 연설을 했다. 러시아 전역에서 똑같은 간결한 메시지를 재 단언하면서 말이다. 그것은 인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노동자들과 그들의 동맹은 부르주아지와 갈라서야만 하며, 모든 권력을 자신들의 손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달리 말해, 혁명을 방어하고 진전시키는 것은 계급 협력이 아니라 계급투쟁을 필요로 했다. 한 볼셰비키의 일반회원 투사는 우리의 기획은 부르주아지와의 투쟁이다라고 설명했다.[18] 6월에, 군대의 아르메니아 볼셰비키 선동가들은 대중의 요구를 쟁취할 유일한 방법은 부르주아지의 임시정부를 전복하고 진정한 인민의 정부를 세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9]

 

1917년 내내 러시아의 발전에 대한 유일한 선택지를 자본주의적 민주주의가 아니면 사회주의로 형식화했던 이들은 볼셰비키라기보다는 거의 항상 온건 사회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이었다.

 

끊임없이 제국 도처에서 반복되었던 멘셰비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사회주의는 고려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러시아에선]농부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노동자들은 충분히 조직되지 않았고 의식화가 덜 이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롤레타리아트가 자신의 최종 목표를 성취할 정도로 충분히 교육되고 조직될 동안 부르주아 민주주의 통치와 자본주의 발전의 긴 기간이 필요하다. 그 사이에 사회주의자들은 자유주의자들을 겁줘서 반혁명의 길을 닦지 않도록, 부르주아지를 제외한 정부를 요구해선 안 된다.

 

멘셰비키의 논객들은 보통 레닌 혹은 볼셰비키의 실제 주장들을 상대하기보다, 볼셰비키 지도자와, 즉각적인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명백히 유토피아적 모험을 주창하는 그의 경향을 비난했다. 4월에 레닌이 돌아왔을 때, 페트로그라드의 멘셰비키 신문 <라보차야 가제타(Rabochaia Gazeta: ‘노동자 신문을 의미하며, 키예프 지역 사회주의자들의 자치 신문사였으나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창당과 함께 당의 기관지로 재구성 된다_역주)>는 따라서 레닌주의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완전하고 즉각적인 경제적 해방에 관한 약속들을 비웃었다.

 

신문의 49일자 반 볼셰비키적 비판의 제목은 이것을 분명히 드러낸다. ‘아나키즘과 최대강령주의(Maximalism: 비현실적인 정도로 비타협적인 강령을 원칙으로 삼고, 그것을 고집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으레 나로드니키 혹은 사회혁명당에 따라붙는 수식어였으나 멘셰비키가 볼셰비키를 비난하며 사용했던 용례도 적지 않으며, 일반적으론 과격분파를 가리키는 등 부정적인 함의가 짙다_역주)의 부활.’[20]

 

그러한 주장에 대한 응답으로, 라트비아 볼셰비키 지도자 페테리스 스투치카(Pēteris Stučka)는 부르주아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 사이에 그러한 단단한 이분법을 세우는 것은 그들이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요구를 지지하길 거부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에 필수적이었다고 단정했다.[21]

 

이러한 맥락을 따라, 트로츠키는 비슷하게, 2월에 멘셰비키가 권력을 잡는 것에 대한 그들의 거부를 합리화하기 위해 혁명의 부르주아적 성격을 부추겼고, 따라서 3월에 동일한 논지를 제기하며 연립정부에 참여하는 것을 정당화했다고 썼다. 트로츠키는 이러한 호소들은 부르주아지의 특권을 보존하고 정부의 역할에 그것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며, 국가 내부에서 정치적 집단들의 임명에 의해 결코 자격이 부여되지 않은’, ‘전적으로 실용적인조치라고 결론 내렸다.[22]

 

볼셰비키와 다른 급진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온건사회주의자들의 분석적인 틀 내부의 이러한 논쟁에 참여하길 거부했다. 볼셰비키 간부층은 반복적으로 그들이 사회주의를 실제 정치적 대안으로부터 관심이 빗나가진 부정확한 허수아비 주장으로 소개한다는 비난을 거부했다. 즉 부르주아와의 협력이 아니면 단절이 있을 뿐이었다.[23] 러시아의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당위를 설명하는 대신, 그들은 사회주의가 국제적으로 만들어져야만 하는 한편, 러시아에서는 국내의 자본가들, 제국주의 자본가들 모두와 갈라설 수 있고, 갈라서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비록 누군가는 혁명이 사실상 부르주아의 것이었다고 믿었다 해도, 그들은 이것이 부르주아 정부의 설립을 부득이하게 하는 것을 수반하진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체제는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중심적인 목표들(토지 개혁, 재헌 의회 등)을 성취하는 데에 무능할 뿐 아니라, 러시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민이나 노동자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 민주주의적일 것이었다.[24]

 

공간적 요인들은 명백히 10월 혁명이 제국의 각 도시와 지역에서 전개된 구체적인 방식을 상술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적 맥락에서 적용된 모든 전략적, 정치적 차이들에 관해 말하자면, 소비에트 권력을 위한 제정 러시아 전역의 1917년 말의 투쟁에 대한 공통된 기초적 내용이 있었다. 공유된 목표는 노동자들의 긴급한 요구를 시행하기 위한, 부르주아지와의 명백한 정치적 단교였다.

 

예를 들면, 10월 봉기의 즉각적인 영향으로, 바쿠(Baku)의 볼셰비키 위원회의 선언은 소비에트 권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혁명이 아니면, 반혁명이다. 부르주아지의 집권이 아니면 소비에트의 집권이다. 부르주아 연합 정부를 타도하라! 위대한 러시아 혁명 만세! 영웅적인 프롤레타리아트와 페테르부르크 수비대 만세! 노동자, 병사, 농민 대표들의 소비에트 권력이여 영원하라!’[25]

 

10월 혁명은 국내와 국외의 부르주아지와 갈라섰고, 1차 대전에서 러시아가 빠져나오는 것, 농민들에 대한 토지 분배, 노동자들의 생산 관리, 재헌 의회 선거 등을 포함하여 노동자들이 그 해 전반에 걸쳐 싸워온 핵심 열망들을 실행했다. 온건사회주의자들과 달리, 볼셰비키는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에 대한 정통적인 마르크스주의의 오랜 약속을 떠받들고 실행했다. 그러나, 뒤이어 나올 장이 보여줄 것처럼, 4월부터 그 이후로 볼셰비키가 소비에트 체제의 설립과 사회주의 혁명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는 것은 거의 사실이 아니다.

 

 

혁명을 유형화하기

 

1917년에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뚜렷한 마르크스주의적 정의가 없었다는 점은 종종 간과되어왔다.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혁명 사이의 정확한 정치적 경계선에 대한 일반적인 동의는 없었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회 사이의 대한 문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개념적 모호함-극도로 유동적이고 혼합된 사회정치적 과정들을 유형화시키는 데에 따른 어려움에 근거한-은 실로 1917년의 이야기에 관한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지배적인 이론적 모호함에 대한 한 징후는 볼셰비키의 4월 회의와 6차 당 대회(1917726- 83) 모두 당의 기획을 갱신하는 것에 대한 곤란한 논의를 연기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시대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사회주의 혁명에 적어도 두 가지 핵심 요소가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첫 번째는 생산수단에 관련된 것이다. 즉 생산의 완전한 사회화로 나아가면서, 자본주의적 소유에 대한 어떤 현저한 잠식이 이뤄져야 할 것이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통제 및 소유가 당장 취해질 것인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1905년 이후 칼 카우츠키(Karl Kautsky)와 다른 혁명적 사회민주주의자들에 의해 언급된 민주주의 혁명에 대한 착상이 몇몇 주요 산업에 대한 국유화를 제안했었다는 사실은 이론적 논의(theoretical waters)를 더 흐리게 했다.

 

두 번째 함의는 사회적 계급과 정부에 관련된 것이었다. 민주주의 혁명과 다르게, 사회주의 혁명은 국가 권력의 쟁취에 도달하며, 전적으로(혹은 아마 주요하게) 도시와 시골의 노동계급의 행위가 되어야 할 것이었다. 러시아에서의 혁명을 유형화하는 방법에 대한 모호함의 상당부분은 그것이 프롤레타리아트가 아닌 계급(소농)의 산물이기도 할 것이며, 아마 전적으로 노동계급의 정부라는 결과를 낳지도 않을 거라는 전망을 중심으로 삼았다.

 

이러한 개념적 회색 지대를 고려할 때, 볼셰비키의 정치적 입장들과 논의들이 일반적으로 구체적인 정치적 경제적 문제들에 맞춰져있었다는 점은 놀랍지 않다. 혁명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범주들이 이들 논의에 끌어들여졌지만, 그들은 그들의 분석적 출발점에 해당하지 않았다. 달리 말해, 혁명에 대한 볼셰비키의 진전하는 메타적 유형화는 훨씬 더 실질적인 정치적 입장들과 논의들을 애매하게 반영하는 경향이 있었다.

 

2월과 3월에 있어, 혁명은 주로 민주주의 혹은 부르주아 민주주의로서 설명되어 왔었다. 그러한 명칭은 4월이 한참 지난 후로도 계속되었다. 인용될 수 있는 많은 사례들 중에서도, 7월 말 라트비아의 주요 소비에트 회의에서, 한 볼셰비키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 바 있다. 러시아 도처의 격변은 세계자본주의 체계가 전복될 만큼 성숙한 시대에 전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 혁명은 우리가 부르주아 혁명이라 부르는 것의 성격을 갖지 않으며, 오히려 그것과 완전히 구별된다. 즉 민주주의 혁명인 것이다.’[26]

 

다른 볼셰비키 최고 지도자들도 여름 내내 이 용어를 계속 사용했다.[27] 심지어 10월 혁명 이후에도, 진행 중인 혁명은 사회주의적이라기보다 민주주의적이라고 주장하는 볼셰비키 간부층의 다양한 사례들을 찾을 수 있다.[28]

 

레닌에 관한 한 그는 4월에,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의 과업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의 결론에서 주된 결함은 그들이 이 문제를 사회주의로의 이행에 관한 문제처럼, 너무나 일반적인 어떤 형식으로제기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그 대신, 그는 구체적인 단계와 방침에 집중할 것을 논하며, 소비에트 권력의 설립은 새로운 이행의사회적 기간을 시작할 것이라고 강변했다.[29] 러시아가 급진적인 사회적 변화에 있어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가능성과 함께 예외적인 역사적 과정을 겪고 있었다는 이러한 개념은 볼셰비키 간부층 사이에 널리 퍼졌다.

 

4월의 논의 과정과 그 해 전반에서, 많은 볼셰비키들이, 러시아 혁명은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혁명의 경계에 자리한 어떤 독특한 기획이었다는 카우츠키의 영향력 있는 1906년의 주장을 긍정적으로 거론했다.[30] 이러한 맥락에서, 트로츠키가 일찍이 1906년에 당연히, 쟁점은 우리의 혁명을 부르주아적인지 사회주의적인지 부르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기치가 무엇이든 프롤레타리아트가 권력을 잡으며, 이는 사회주의적 방침의 통로를 취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라고 주장했던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31]

 

여름 이후로, 볼셰비키는 점차 혁명을 단지 그에 연루된 계급의 힘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기 시작했다. , (병사들을 포함하여)노동자들과 농민들 말이다. 페트로그라드에서 임시정부의 전복을 표명하는 선언은 따라서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노동자, 병사, 농민들의 혁명이여 영원하라!’[32] 제국 전역에서 이와 유사한 어구들은 표준이었다.[33]

 

볼셰비키에게 (보통 10월 훨씬 이후)사회주의 혁명의 요구들을 통한 담화는 항상 서구 및 세계혁명의 맥락에서 사회적 전복에 착수하는 것과 관련된다. 러시아에서 노동자들에 의한 권력 장악을 사회주의 혁명으로 유형화하는 것은 극히 드물었다(4월에 페트로그라드와 그 이외의 곳에서 있었던 토론과 결의에는 완전히 부재했다). 사실, 볼셰비키 최고 지도부-4월의 레닌을 비롯하여-는 그들이 러시아 내부에서 사회주의 혁명을 꾀하고 있다는 주장을 명시적으로 거부했다.[34]

 

부분적인 예외는 볼셰비키 지도부 중 한 정파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을 버렸던 7월의 어떤 날들의 즉각적인 여파로 일어났는데, 이들은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는 돌이킬 수 없이 반혁명적 부르주아지에 굴복했고 기존의 소비에트는 더 이상 혁명적 권력 기관이 될 수 없다는 레닌의 주장에 맞서 승리하였다. 페트로그라드 당 회의, 그리고 다시 제 6차 당 대회에서 스탈린은 임박한 러시아 혁명을 사회주의 혁명으로서 설명했는데, 이는 내가 찾은 볼셰비키 지도자 중 1917년에 첫 번째로 그 개념을 명백히 사용한 사례이다.[35]

 

그러나 V.볼로다르스키(V. Volodarsky)등의 다른 간부들은 이러한 혁신을 다음과 같이 날카롭게 거부한다. ‘이 혁명은 사회주의 혁명으로의 어떤 이행이지, 우리가 우리의 동맹을 잃고 홀로 싸우게 되는 사회주의 혁명은 아니다. 우리와 서방 유럽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우리는 부르주아 혁명 이상의 것을 가지지만, 그것이 사회주의 혁명은 아닌 것이다.’ 비슷하게, 또 다른 간부들은 스탈린의 경우가 4월 회의를 통해 취해진 더 온건한 입장과의 단절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스탈린에 맞서 주장하면서, 훗날 좌익 반대파의 지도자가 될 Y.A. 프레오브라젠스키(Y.A. Preobrazhensky)는 러시아에서의 성공적인 사회주의적 이행은 서구 노동자들의 통치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으며, 사회주의 혁명과 부르주아 혁명에 대한 스탈린의 날카로운 대립을 거부했다. 그는, 이러한 방법이 비변증법적이고, 볼셰비즘보단 멘셰비즘과 관련된 것이라 주장했다. 궁극적으로 제 6차 당대회는 그 사건들이 프롤레타리아 혁명 요소의 증가를 이끌고 있다고 제약 없이 결의했다.[36] 더욱이(아래에 논의한 이유로) 심지어 이 타협안의 공식화와, 그것과 연결된 6차 당 대회의 방향은 당위원회에 의해 무시되었다.

 

사실상 모든 볼셰비키의 내부 결의안과 문헌, 러시아 혁명을 앞둔 격론-그리고 1025~262차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공표된-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언급은 오직 국제적 과정에 관련되어있다.[37]

 

10월 혁명이 시작되기 8일 전 당의 이론적 간행물로 출판된- 레닌의 에세이 <볼셰비키는 국가 권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에서 그가 지나가는 말로 다가오는 러시아에서의 격변을 사회주의 혁명이라 설명했던 것은 사실이다.[38] 그러나 특히 1025~26일의 극적인 사건 이전에, 이러한 구상이 볼셰비키 당 내부에서, 혹은 당을 지탱한 노동자들 사이에서 널리 공유되었다는 것을 암시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

 

데이비스 만델을 인용하자면, ‘사회가 두 개의 해소불가능한 적대적 진영으로 분열된 조건 속에서, 10월은 2월의 실제적이고 약속된 성취에 대한 최초의, 가장 중요한 방어 행위였다. 비록 10월이 사회주의를 향한 길을 여는 것으로 보였다 해도, 10월과 이어지는 달들에서 취해진 모든 방침들은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는 것이거나, 새로운 상황 속에서 혁명을 보존하려는- 근본적으로 방어적인 행위로 비쳐졌다.’[39]

 

비록 볼셰비키의 여러 최고 간부들은-특히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를 정부에 결합시키는 것, 독일과의 단독 강화에 사인하는 것, 재헌 의회를 고려하는 것 등에 대한 토론 과정에서-10월 봉기에 이어지는 러시아의 혁명을 명백히 사회주의로 인식했으나, 이러한 공식적 표시는 1918년 초에야 일반적으로 당과 정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40]

 

 

국제 사회주의 혁명과 노동자의 통제권(Workers’ Control)

 

러시아 혁명을 범주화하는데 있어 상황을 복잡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는 1917년 모든 볼셰비키들과 국제주의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무엇보다도 사회주의 혁명을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 간주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러시아 혁명은 비록 러시아 자체 내에선 그 과정이 여전히 주로 전적으로 민주주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국제 사회주의 혁명의 점화장치이자 구성요소로 다루어질 수도 있다.

 

실로, 이는 최소한 1914년 이후부터 러시아제국 전역의 볼셰비키들과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입장이 되어왔었다. 4월 회의에서 이러한 접근을 승인하면서, 바그다테브(Bagdatev)는 러시아의 소비에트 권력 장악에 의해 촉발될 서유럽에서의 사회주의 혁명 없이는 당의 최소 프로그램을 완전히 이행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41]

 

비슷하게, 라트비아의 볼셰비키 지도자 프리시스 로진스(Fricis Roziņš)7월에 다음과 같이 썼다. ‘평화와 자유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의해서만 성취될 수 있다. 러시아에서의 부르주아 혁명은 모든 자본주의 국가들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일으켜야 한다. 이러한 이론적 이해로부터 모든 [국제주의자들의]실천 행위가 나온다.’[42]

 

러시아 혁명이 1차 세계 대전의 맥락 속에서 터져 나왔다는 사실의 중요성은 지나치게 강조될 수 없다. 한편으로 전쟁의 파국은 모든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자들로 하여금 국제적으로 서구에서의 사회주의의 폭발을 자신 있게 예측하도록 이끌었고, 1917년에 이는 몇 년이 아니라 몇 주 또는 몇 개월의 문제로 보였다.

 

더욱이, 평화를 위한 진지한 싸움은 러시아를 외국의 제국주의와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에 밀어 넣을 것이었기에, 그해 내내 급진주의자들 사이에서 다수의 시각은, 러시아에서의 성공적인 혁명은 그것이 해외로 퍼져나가며 이어지지 않는다면 외국 열강에 의해 분쇄될 것이라는 점이었다.

 

레닌이 4월에 주장했듯, ‘우리는 이제 모든 다른 나라들과 엮여있으며, 우리 스스로 얽힘을 풀 수 없게 되었다. 프롤레타리아트 전체가 자유롭게 되거나, 분쇄될 것이다.’[43] 러시아 내 사회주의의 객관적 조건의 부재에 관한 멘셰비키의 반론에 있어 볼셰비키의 주요 응답은 세계 혁명의 현실성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스투츠카(Stučka)는 러시아에서의 혁명은 오직 서구의 프롤레타리아트가 붉은 깃발을 들어올릴때만 성취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러지 않는다면 소비에트 정부는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공격에 무너질 것이었기 때문이다.[44]

 

일국 사회주의에 대한 그의 나중의 옹호와는 실로 반대되게도, 1917년 스탈린은 다음과 같이 확언했다. ‘러시아 혁명은 고립된 무언가가 아니다. 그것은 서구에서의 혁명적 운동과 불가결하게 관련되어 있다 오직 서구 노동자들과의 협력 속에서, 오직 서구에서 자본주의의 근간을 흔듦으로써, 그들[노동자들과 군인들]은 러시아에서의 혁명의 승리를 기대할 수 있다!’[45] 트로츠키처럼 그는, 해외에서의 혁명의 지원이 없이는 사회주의로의 전환 뿐 아니라 러시아 혁명의 단순한 생존도 불가능 할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주장했다.[46]

 

임박한 전 세계적 반자본주의의 돌연한 발생의 핵심은 1917년 볼셰비키의 동요와 선전에 있어 항상 나타나는 측면이었다. 당의 언론은 러시아 혁명의 운명이 국제적인 계급투쟁에 달려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따라서 당의 문건은 해외의 노동자 투쟁과 반전 투쟁이 증가하는 사례를 지속적으로 포착하고 강조했다.

 

세계 혁명에 대한 이러한 내기는 이어지는 10월 혁명 전야와 10월 혁명 기간 동안에 확증되었다. 레닌은 나중에 해외 혁명의 전파 없이는 러시아의 소비에트 체제가 3년 동안만 버틸 수 있을 것이라 믿었던 것은 191710월에 볼셰비키 한 사람만이 아니었다고 썼다. ‘우리가 우리의 이상을 위해 일에 착수했을 때, 우리는 전적으로 세계 혁명을 기대했다.’[47]

 

이러한 입장은 제국 전역에서 온건 사회주의자들과 급진 사회주의자들 사이의 핵심적인 전략적 차이 중 하나로 지속되었다. 볼셰비키와 그들의 동맹은 노동자들의 능력에 있어 권력의 쟁취에 관한 자신들의 주장이 틀림없다고 생각했던 반면, 온건파들은 서구의 혁명이 당장의 의제가 아니며 따라서 러시아에서의 정치적 기획이 해외로 확산되길 기대하는 전제는 무모한 것이라고 단언함으로써 자신들의 절충주의를 정당화했다. 그들의 눈에 혁명은 주로 별개의 국가들 내부에서 일어난 과정이었고, 이들 [국가]각각은 사회주의 혁명이 가능해지기 전에 충분히 성숙한조건들을 갖춰야 했다.

 

사후적으론, 러시아 바깥의 자본주의의 생존에 의해 온건파들이 옳은 것으로 증명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러한 분석은 1917년 이후 국제적인 혁명이 있었다는 사실, 그 패배의 상당부분이 러시아와 해외에서의 회유적인 사회주의자들의 계급 협조에서 기인한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어렵게 한다. 전 세계적인 반자본주의적 격변에 관한 온건 사회주의자들의 그러한 회의주의는 중립적인 분석이긴커녕, 어떤 정치적 개입이자 상당 수준으로 자기 충족적인 예언이었다.

 

국제적 혁명에 대해서처럼, 적어도 10월 까진 노동자들의 [공장 및 생산에 대한]통제와 자본가의 재산 몰수에 관한 볼셰비키의 일반적인 합의가 있었다. 간단히 말해, 볼셰비키는 (서구에서 혁명이 일어날 때까지)후자가 아니라 전자를 지지했다. 심지어 4월에 있었던 사회주의를 향한 걸음에 대한 레닌의 말은 자본주의적 산업의 부분적 혹은 완전한 몰수를 포함하지 않았다.

 

레닌은 러시아 인구의 대다수가 농민이고, 사회주의에 관한 이념을 가질 수 없는 소농들이기에, ‘우리는 사회주의를 도입할 수 없으며, 이는 터무니없는 말이 될 것이다라고 상정했다.[48] 그로서 바그다테브는 레닌에 의해 제안된 특정한 강령에 동의했으나, 이들은 완전히 당의 최소 강령의 틀 내부에 있었다고 주장했다.[49]

 

비슷하게, 노동자 통제권(control)을 위한 공장 위원회의 움직임은 자본주의적 산업을 사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부르주아적 소유 혹은 작업장의 관리에 관해 토론하는 것은 목표가 아니었는데, 실로 러시아에서 ‘kontrol’이라는 단어는 사실상 [‘통제보다는]‘감독(supervision)’이나 검사(checking)’로 번역되는 것이 낫다. ‘노동자 통제권1917년 대부분 동안 주로 고용주들의 행동을 감시하는 일로 이루어진 방어적인 방침이었다. 그 목표는 사장들이 피고용인들의 권리를 존중하도록 하는 것이었으며, 무엇보다 그들은 생산을 탈구시키고 방해하길 지속하지 않았다.

 

그의 고전적인 연구에서, S.A. 스미스(Smith)는 생산에 대한 노동자 통제권의 정치는 무엇보다도 산업 혼란의 흐름을 막기 위한 공장 위원회들의 시도였다라고 쓴다.[50] 아나키스트들과 사회혁명당의 최대강령주의자들은 즉각적인 산업 압류와 공장들에 대한 프롤레타리아의 완전한 관리를 요구했지만, 이러한 입장은 일반적으로 1917년 내내 (볼셰비키들과 마찬가지로) [공장]위원회에 의해 거부되었다.

 

노동자 통제권은 멘셰비키에 의해 그려진 정부의 이중권력구조와 유사하다. 즉 비록 그들이 그들 스스로를 위해 충분한 권력을 추구하지 않았다 해도, 노동자들은 부르주아지들에게 올바른 방향으로 압력을 넣기 위해 부분적인 권한을 요구했던 것이다.

 

볼셰비키가 공장 위원회와 노동자 통제권을 향해 긍정적인 접근을 취하도록 한 그 압력은 레닌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라, 일반 노동자들과 당의 노동자 투사들로부터 연원했다.[51] 볼셰비키의 노동자 지도자였던 블라디미르 밀류틴(Vladimir Milyutin)이 제 6차 대회에서 썼듯, 당은 기층서부터 수행된 자주적 활동의 경험에서 나온노동자 통제권에 관한 요구에 빚져왔다’.[52]

 

일반적으로 노동 운동에서와 마찬가지로, 볼셰비키들 사이에서 헤게모니적 입장은, 산업에 대한 완전한 소유와 관리를 향해 팽창될 노동자 통제권(소비에트 국가의 통제와 함께)에 관한 가능성이 혁명의 국제적 확산에 달려있었다는 것이었다.

 

한 볼셰비키 지도자는 6월 공장 위원회 회의에서 어떻게 혁명이 종결될 것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최소한은 자본에게서 그 권리들의 부분을 박탈할 테지만, 최대한의 경우, 누가 러시아 혁명으로부터 그것이 세계 혁명이 될 수 없으리라고 말할 것인가?’[53]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10월 내내 지배적이었던, 상대적으로 제한된 노동자 통제권이 자본주의의 일반적인 작동과는 다른 방향을 가리킨다는 점은 모두에게 분명했다.

 

비록 봄에 고용주들은 노동자 통제권에 관해 마지못해 굴복했지만, 9월 초 이후로 그들은 자신들의 기업에 관한 완전한 통제권을 되찾으려는 목적으로 공장 위원회에 맞서 공격적인 조직적 활동을 이끌었다. 산업의 급속한 혼란과 위원회에 맞선 자본가들의 공격으로 두드러진 상황에서, 제국 전역의 작업장은 가을 내내 [공장에 대한]권한을 위한 격렬한 전쟁의 장소였다. 실로, 노동자들과 고용주들의 상호 비타협적 태도는 레닌을 포함한 대부분의 볼셰비키 지도자들이 원했던 것보다 더 멀리, 더 빨리 작업장 투쟁을 밀어붙였다.

 

10월 혁명은 노동자 통제권을 성문화했지만 산업을 국유화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레닌과 볼셰비키 지도부는 10월 이후 몇 달 동안 산업의 소유자들과 일종의 작업 협정(working arrangement)에 도달하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로츠키가 1906년에 예견했듯, 선도적인 노동자들이 볼셰비키를 고무했을 때 그들은 그들이 애초에 계획했던 것보다 훨씬 더 멀리 나아가지 않을 수 없었다.

 

자본가들의 경제적 사보타주와 정치적 저항, 노동자들의 비합법적인 몰수의 흐름, 내전의 동학은 당이 1918 년 하반기에 모든 주요 산업을 국유화하도록 휩쓸었다. 그 주어진 맥락에서 다른 가능한 대안은 없었다 해도, 이 소비에트 국유화의 흐름은 생산의 파국적인 붕괴를 심화시켰고 특권을 부여받은 국가 관료의 대규모 성장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54]

 

소비에트 권력의 계급적 리더십(Class Leadership)

 

1917 년 세계 혁명과 노동자 통제권에 관한 볼셰비키 내부의 불협화음은 거의 없었지만 소련 정부의 당/계급 지도력의 문제는 훨씬 더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혁명의 과정과 실질적인 당의 정치에 결정적인 것은 이 문제였다. 필자의 선행 연구는 라스 리(Lars Lih)의 선구적인 업적과 중요한 측면에서 겹쳐져왔지만, 필자가 보기에 1917 년 볼셰비키의 연속성에 대한 라스 리의 강조는 그로 하여금 이 논쟁의 중요성을 축소하도록 이끌었다.

 

볼셰비키는 1905 년 이래로 줄곧 어떤 계급(그리고 그 계급과 조응하는 당)이 그런 권력에서 헤게모니를 쥐어야 하는지를 명시하지 않고 노동자와 농민의 소비에트 정부의 필요성을 주장 해왔다. 볼셰비키가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의 민주적 독재'를 요구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때 중요한 것은, 그들이 노동자 계급의 중요성과 그 내부의 정치적 대표자를 명시하지 않은 채 혁명적 국가 권력의 일반적인 계급적 내용(content)을 언급했다는 것이다.

 

결정적으로 이것은 볼셰비키의 전략이 여러 가지 다양한 방향으로 구체화 될 수 있음을 의미했다. 반대로, 트로츠키는 프롤레타리아트가 어떤 정부 내에서든 민주주의적 혁명을 승리로 이끌 수 있는 헤게모니적 흐름이어야한다고 주장했다. 트로츠키는 정당하게도, 이 문제-‘누가 정부 자체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이를 통해 국가에서의 헤게모니를 장악 할 것인가?’-에 관한 자신의 입장은 영구 혁명 전략의 가장 근본적인 교의 중 하나였다고 주장했다.[55]

 

1905년 이후로, 여러 경우에 볼셰비키는 민주주의 혁명을 위한 독특하고 구체적인 정부의 비전을 제안했다. 이들이 때로 사실상 트로츠키의 것과 동일한 프롤레타리아 국가 헤게모니의 형태에 대한 지지를 포함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간과된다.[56] 그러나 또 어떤 경우엔, 볼셰비키는 정부에서 노동자들의 당이 프티 부르주아의 혁명적 민주주의 정당(예컨대 사회혁명당과 트루도비키(Trudoviks))과 동등한 파트너(혹은 심지어 소수파)로서 행동할 수 있을 거라 제안했다.[57]

 

1917년 내내, 볼셰비키는 (프롤레타리아의) 볼셰비키 정부의 리더십이 민주주의 혁명의 승리에 필요한 것으로 증명될 것인지, 혹은 (프티 부르주아지의) 온건 사회주의자들-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이 부르주아지와 갈라서도록 강제될 수 있을지에 관해, 이러한 열린 결말의 접근을 유지했다.

 

4월의 논쟁도 볼셰비키 전체의 기류로 하여금, 실행 가능한 노동자들과 농민들의 정부가 국가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헤게모니를 필요로 한다는 트로츠키의 오래 지속되어온 관점을 채택하도록 하진 않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4월 회의의 핵심적인 전언은, 교차하는 계급의 소비에트 정부가 소비에트 내에서 (부르주아지와의 결별을 위한)‘프롤레타리아 노선의 완고한 개진을 통해서만 설립될 수 있고, 또 그러한 방식으로 설립되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58]

 

비록 레닌에 의해 작성된 4월 결의안에서 이뤄진 몇몇 형식화가, 필수적인 다음 단계로서 프롤레타리아 국가 리더십의 방향에 관해 막연하게나마 지적했지만, 계획된 소비에트 정부에 대한 정확한 계급-정치의 리더십은 여러 면에서 구체화되지 않은 채로 남았다.

 

4월 결의안의 모호함의 근저에 있는 것은, 그 회의 과정에서 넓은 범위의 다양한 견해들이 분명히 표현되었다는 사실이었다. 레닌의 입장은 카메네프에 의해 가장 분명히 표현되었던 것과는 상당히 달랐다. 레닌에 따르면, 오직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의 혁명적 독재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은 이제 시대착오적이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독재가 예상외로 프티 부르주아지의 지도자들이 거대한 부르주아지에게 권력을 넘겨줬던 소비에트에서 실현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우리가 새롭고 다른 과업에 직면했으며’, 그것은 이러한 독재 내부에서’ ‘프롤레타리아적요소와 부르주아지를 지원하는데 전념해 온 프티 부르주아지적요소(우파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의 지도자들) 사이의 분리를 성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59] 이러한 분석을 숙고하며, 레닌은 계급투쟁과 미래의 국가 권력에 있어 노동자들의 주요한 동맹은 농민 전체라기보다는 빈곤한 농민들과 농업 노동자라고 제안했다.

 

이러한 입장은 혁명적 정부의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의 방향, 즉 레닌이 1917년 내내 노동자와 빈곤한 농민의 정부라 묘사하려했던 권력의 형식을 가리켰다.

 

소비에트 권력의 설립을 사회주의를 향한 걸음이라 본 레닌의 구상 역시 마찬가지로 노동계급의 헤게모니에 대한 강력한 함축을 담고 있다. 몇몇 볼셰비키와 압도적 다수의 멘셰비키가 레닌의 입장을 사회주의적 혁명과 동일한 것으로 봤다는 것은 아주 놀랍진 않다. 그러나 레닌이 이러한 명명을 거부했으며, 그가 프티 부르주아지와 그 대변자들 전부가 부르주아지와 결별하고 프롤레타리아트와 함께 권력을 잡을지도 모른다는 것이 실로 가능하다는 점을 여전히 인정했다는 걸 지적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는 만약 이것이 여전히 가능하다면, 이를 향한 하나의, 유일한 하나의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프티 부르주아지의 요소로부터 프롤레타리아트의 공산주의적 요소의 즉각적인, 단호한, 결정적인 분리이다라고 결론지었다.[60]

 

레닌의 당내 비판자들은 일반적으로 전체 프티 부르주아지와 그 정치적 대표들이 자본가들과 결별할 잠재력에 대해 더 희망을 걸고 있었다. 카메네프는 전체 혁명적 민주주의와 부르주아지의 충돌은 불가피하며’, 이러한 자본가들로부터의 임박한 분리를 고려했을 때, 프롤레타리아트와 프티부르주아지 사이의 연합을 깨지 않을 우리의 전략 전부를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61] 4월 회의에서 바그다데프(Bagdatev)는 당내 비판자들의 레닌에 대한 불일치의 본질은 그들이 소비에트를 볼셰비키의 입장으로 돌리는 것이 권력 장악의 전제조건이라 생각하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고 주장했다.[62]

 

그 해 내내, 볼셰비키 온건파들의 결정적인 태도는 그들이 폭넓은 다당제의 사회주의 정부를 공동으로 구성하도록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를 설득하는 일을 가장 일관되게 지향했다는 것이었다. 물론 이런 방향으로 강제되었던 이유도 있다. 노동계급은 러시아에서 소수였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폭 넓은 소비에트 정부는 노동자-농민의 동맹을 굳게 접합시키고 부르주아지에 일치단결하여 맞선 다수결의 사회적 기초를 놓는 데에 있어 최선의 잠재된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볼셰비키는 강력한 농촌의 지지가 부족했고, (라트비아에서 떨어진) 농민 계급의 분화는 레닌이 4월에 주장했던 것보다 덜 퍼졌다. 달리 말해, 볼셰비키 온건파의 접근은 멘셰비키와는 상당히 달랐으며, 공리공론이나 개혁주의로 가볍게 치부되어선 안 된다.

 

이러한 볼셰비키의 독특한 기대는 지난 4월동안 잘 공존했다. 4월 당 토론의 모호성과, 레닌 스스로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가 자유주의자들과 불화할 가능성을 거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볼 때, 볼셰비키는 그 잠재적인 계급 지도력에 대한 모든 우발적 사태들에 열려있는 전략적 체제 내에서, 압도적으로 소비에트 권력을 숙고하고, 그들을 동요시키길 계속했다. 4월 이후의 내부 토론도, 당의 신문도 볼셰비키가 그들의 당에서 첫 번째로 다수파를 점한 걸 통해 분명히 소비에트 권력 설립을 지향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았다.

 

소비에트에서의 온건사회주의자들의 우세함을 고려할 때,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은 구체적으론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정부를 만든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한 볼셰비키의 선동은 본래 그들의 라이벌을 폭로하는 전술상의 책략이 아니라, 노동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전념하는 폭 넓은 반자본주의적 권력을 형성하려는 진지한 압력이었다.

 

볼셰비즘의 4월 이후 입장은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지도부가 부르주아지와 결별하는 데에 무능했다는 것이 아니라, 외려 그들이 부르주아지와 결별할 수 있고, 즉시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온건 사회주의자들이 그들 자신의 손으로 권력을 잡을 것을 요구한 7월의 요청에서, 바쿠[Baku: 현 아제르바이잔의 수도_역주]의 볼셰비키 지도자였던 스테판 샤우미안은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글을 마친다. ‘유력한 사회주의 정당들은 삶의 긴급한 목소리를 들을 것인가? 혹은 그들은 혁명의 이익에 대한 자신들의 멍청한 오해를 계속해서 고집할 것인가?’[63]

 

소비에트 권력을 향한 볼셰비키의 선동은 프티 부르주아지의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를 [자유주의자들의 지도자였던] 밀류코프(Milyukov)와 구치코프(Guchkov)의 영향으로부터, 러시아와 제국주의 동맹에 대한 그들의 노예적인 복종으로부터 떼어내려는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의 욕망을 표명했다고 그는 설명했다.[64]

 

6차 당 대회에 대해 말하면서, 스탈린은 볼셰비키에 의해 자신들의 유명한 표어에 부여된 의미를 논쟁의 여지없이 설명했다. ‘우리의 슬로건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였고, 따라서, 통일된 혁명적 전선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은 부르주아지와 결별하길 두려워했으며, 우리에게서 등을 돌렸다.’[65]

 

볼셰비키의 지배적인 접근은 온건 사회주의자들이 결별할지 말지를 얘기하기만 하는 정도였다. 반대로, 트로츠키는 6월에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현 정부의 몰락과 함께, 노동자, 군인 대표들의 현 소비에트 지도자들의 몰락이 이뤄질 것이다. 혁명의 대표로서 소비에트의 권위를 지키고, 지도적인 권력으로서 소비에트의 기능이 존속하도록 보호하는 것은 오직 소비에트의 현 소수파의 권력에 달려있다.’[66]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볼셰비키의 접근 내에서 첫 번째 결렬은 4월이 아니라 7월 사태 이후로 생겼다. 노동자들과 그에 잇단 반 급진주의적 공세에 대한 연립 정부의 유혈 진압 이후로, 레닌은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가 명백히 혁명의 대의를 배반했으며’, (그의 관점에서)이들은 자신들의 모든 권한을 부르주아 독재에 양보해왔기 때문에, 더 이상 기존 소비에트가 권력을 잡도록 평화롭게 압력을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당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요구를 버려야했고, 대신 반혁명적 군국주의 체제에 맞서 무장한 프롤레타리아의 봉기로 방향을 틀어야했다. 레닌은 부르주아지와의 결렬은 앞선 시기와 달리, 이제 완전히 대중이 ‘19177월의 경험 이후로(...)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에 등을 돌릴 것을 요구하는 것이며, ‘국가 권력을 독립적으로 쟁취해야하는 쪽은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이고, 이것이 없이는 혁명의 성공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레닌이 노동자와 폭 넓은 농민 대중 양자를 대표하는 다수결주의의 소비에트 체제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포기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레닌이 보기에 이제 이 목표를 향한 길은 필연적으로 무장한 노동자들에 의한 즉각적인 권력 장악과 직결된다는 것이었다.[67]

 

혁명의 진전은 프롤레타리아가 이끄는 정부를 절대적으로 요구한다는 레닌의 날카로운 주장은, 권력은 기존의 소비에트와 독립적으로 그 다수파인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에 맞서 쟁취되어야한다는 그의 견해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것이었다. 페트로그라드 볼셰비키 급진파의 여러 간부들은 이러한 입장을 지지했으며, 이는 7월 사태 이후 온건사회주의자들로부터 고립된 호전적인 프롤레타리아트의 강한 의식과 일치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이러한 노선은 볼셰비키 지도부와 당원들 사이에서 4월 테제보다 더 논쟁적이었다.

 

레닌이 숨어있었기 때문에, 7월 말부터 9월 초까지의 제 6차 당 대회에서 새로운 노선의 주요한 옹호자는 스탈린이었는데, 그는 심지어 서구에서 혁명이 발발하기 전이라 해도 러시아가 이제 사회주의 혁명에 준비되었다고 주장함으로써 레닌 본인 보다 더 나아갔다. 그러나 6차 당 대회에서 볼셰비키 최고 지도자들은 사회주의의 본질로서 혁명과 관련된 설명뿐만 아니라, 소비에트에 독립적인 프롤레타리아트의 권력 장악 요구를 날카롭게 논박했다.

 

그들이 보기에, 소비에트를 권력 기관으로 변형시키려는 싸움을 중단하는 것은 당과 노동계급을 고립시킬 치명적인 위험이 있는 것이었다. 그들은 현재의 소비에트를 폐기하는 것과, 이들 기관이 대표하는 프티 부르주아 대중과의 동맹을 폐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68]

 

이렇게 훤히 드러난 토론은 역사편찬에서 매우 간과되어 왔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요구에 관한 지배적인 오해와 모순되기 때문이다. 6차 당 대회에서, 사회주의 혁명(및 소비에트에 독립적인 권력 장악) 옹호 노선에 맞서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이양할 것을 가장 지속적으로 요구했던 쪽은 볼셰비키 온건파들이었다. 결국, 6차 당 대회는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이양하라는 요구를 철회하고, 동시에 당의 이전 접근의 상당부분을 재차 단언하면서, 레닌의 입장으로 기울어진 일련의 타협안을 통과시켰다.[69]

 

레닌과 (더 약해진 형태로)6차 당 대회에 의해 옹호된 새로운 노선에 대해 전체로서의 당이 취한 반응을 고찰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것이다.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이양하기 위한 싸움을 그만두라는 요구는 기본적으로 대체로 무시되었다. , [그 요구를] 누구에게 들어도, 볼셰비키 위원회는 계속해서 이 요구를 제기했고, 온건 사회주의자들이 자유주의자들과 갈라서도록 압력을 행사했다.

 

이것은 주요 지방과 국경 도시들 뿐만 아니라, 모스크바와 페트로그라드에서도 사실이었다. ‘지역 수준에선 대중의 정서에 반대되는 방침 변화를 이행하는 것에 대해 널리 퍼진 거부가 있었다고 악톤(Acton)은 쓴다. ‘그 결과는 소비에트에 기초한 통치의 옹호자로서의 당의 이미지에 심대한 타격을 줄 수 있었을 조치를 완화하는 것이었다.’[70]

 

코르닐로프의 패배는 8월 말 폭 넓은 다수 정당의 저항으로 인해 정치적 상황을 급진적으로 변화시켰다. 지난 달 동안 레닌이 주장해왔었던 것과는 달리, 반 코르닐로프 투쟁은 기존의 소비에트가 쇠퇴하지 않았으며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가 스스로 반혁명적 부르주아지에게 분명하게 순종하지 않았음을 드러냈다.

 

이러한 단결된 승리의 각성 속에서, 전 정치적 스펙트럼에 걸쳐 많은 이들에겐 소비에트의 지도부가 결국 자유주의자들과 결별할 것으로 보였다. 핀란드의 그의 은신처로부터, 레닌은 또 다른 뜻밖의 정치적 반전을 꾀했고 이제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 지도부가 소비에트 정부를 구성하도록 하는 볼셰비키 지도부의 요구에 힘을 쏟았다.

 

그의 즉각적인 목표는 여전히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재였기 때문에, 레닌은 개인적으로 볼셰비키가 기존에 제안된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소비에트 정부에 참여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71] 그러나 831일의 소비에트 집행부의 지도부와 914일부터 22까지 이어진 전 러시아 민주당 회의에 대해, (이제는 트로츠키가 포함된)볼셰비키 중앙위원회에 의해 만들어진 반(anti) 연립 정부 안은 이러한 가능성을 거부하지 않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셰비키 지도부는 91일의 페트로그라드 시 의회(Duma)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오직 진정 혁명적인 민주주의가 위대한 혁명적 페트로그라드의 관리를 맡게 하자. 그러면 우리 역시 세계 혁명 중심지의 이익을 위해 철저하게, 사심 없이 일하기 위해 그 행렬에 자리를 잡을 것이다.’[72] 이주 후, 지도부의 사설도 비슷한 입장을 표명했다. ‘볼셰비키와 함께 통일된 전선을 만들고 싶은가? 그렇다면 케렌스키 정부와 결별하고,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는 소비에트를 지원하라. 그러면 통일할 수 있을 것이다.’[73]

 

이 타협이 받아들여졌다면, 카메네프와 그 동료들이 가진, 노동자들의 민주적 독재에 대한 전망과 닮은 체제가 나타났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 지도부는양 당들 내부에서 반 연립파의 강력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자유주의자들과 함께 또 다른 정부를 세웠다.

 

볼셰비키 지도부가 온건 사회주의자들에 대해 제안한 타협안이 나온지 며칠 만에, 어떤 중요한 새로운 진전이 정치적 방정식에 진입하게 되었다. 그것은 볼셰비키가 처음으로 페트로그라드와 모스크바 소비에트에서 지도부를 쟁취하게 된 것이었다. 제국 전역의 소비에트들이 이내 그 뒤를 이었다. 이제 볼셰비키는 이들 조직들 내에서 가장 강력한 흐름이었으며,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요구는 완전히 새로운 정치적 내용을 취했다. 소비에트 정부는 이제부터 아마도 볼셰비키에 의해 지도되는 정부를 의미했다. 즉 볼셰비키의 계급 분석 용법으로 말하자면, 그것은 프롤레타리아트가 헤게모니를 잡았던 체제가 될 것이었다.

 

온건 사회주의자들이 볼셰비키가 이끄는 소비에트 체제의 정당성을 받아들였다면, 그들의 폭넓은 사회적 기초는 인구의 광대한 다수를 대표할 것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속해서 소비에트 권력을 노동자, 농민, 군인, 좌파 인텔리겐치아, 그리고 그들의 정치적 대표자들을 대의하는 다당제의 체제로 상상했다. 그러나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계속된 반발은 볼셰비키가 이끄는 소비에트 정부가 근본적으로 (혹은 배타적으로)노동계급에 근거할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일으켰다.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좌파들은 성장하고 있었지만, 어디서 그들의 정치적 동맹이 완전히 끝날지는 불분명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른 사회주의 조류들의 동의가 없는 소비에트에 의한 권력 장악은 프롤레타리아트의 고립과 내전이라는 잠재적인 위협을 가져왔다.

 

그런 상황에서, 임시정부를 타도하기 위해 볼셰비키의 지도부가 즉각적으로 무장봉기를 조직해야한다는 9월 중순이후로 제기된- 레닌의 권고는 처음에 볼셰비키 중앙 위원회의 나머지 구성원들에게 단호하게 거부되었다. 그들에게 제안된 타협안에 대한 온건파들의 처음의 거절 이후 몇 주 동안, 볼셰비키 간부층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회주의 조류들의 동의를 얻어 다당제의 노동계급정부를 평화적으로 수립할 방안을 찾기 위해 계속해서 협상과 압력 발의를 했다.

 

이러한 입장은 단지 부르주아지에 대항하는 파열을 가능한 폭 넓은 기반으로 보존하겠다는 볼셰비키 지도자들의 욕망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혁명적 민주국가의 화합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지속적인 압력으로부터 또한 나왔다. 그러한 맥락에서, 볼셰비키의 정치적 성공은 그들이 온건파들에게 통일의 지반을 요구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1010일에, 온건파들과의 협상이 처한 난국은, 질서를 회복하겠다는 케렌스키 정부의 새로운 발의와 결합하여, 중앙위원회 다수가 결국 무장 봉기의 필요성에 대한 레닌의 주장을 받아들이도록 이끌었다. 당은 다른 사회주의 조류 및 그들의 지지자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 통치의 설립을 향해 밀고나가야만 할 것이었다. 당의 다수는 레닌처럼, 이제 권력을 쟁취하는 데에 있어 그들이 계속해서 광대한 농민 대중을 설득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과, 성장하는 볼셰비키와 사회혁명당 좌파의 연합에 의해 예시된 희망찬 동학에 내기를 걸었다.

 

그러나 이것은 당이 다가오는 제 2회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가 있기 몇 주 전에 봉기를 조직하라는 레닌의 무분별한 압력에 볼셰비키 지도부가 동의했음을 뜻하진 않는다. 대신에, 트로츠키의 지도하에서 볼셰비키는 무장 행동을 소비에트와 그 기관들, 2차 소비에트 대회의 정당성에 결합할 더 신중하고 방어적인 접근을 통해 정부 전복을 조장하려 했다. 비록 10252차 대회가 열리기 몇 시간 전에, 계속되어온 군사 작전계획을 더 공격적인 형식으로 밀어붙인 것에 레닌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드러날 것이지만, 결국 우세했던 것은 후자의 방법이었다.

 

잘 알려져 있듯, 볼셰비키 중앙위원회의 두 소수파였던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는, 1010일의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졌으며, 비 볼셰비키 언론을 통해 무장 봉기에 반대하는 주장을 계속했다. 그들의 입장의 핵심-제국 전역의 많은 볼셰비키 간부들이 공유했던-은 무장으로 권력을 점하는 일을 성공시키기엔 프롤레타리아트와 그 당이 여전히 너무 약하다는 것이었다.

 

다가오는 제헌의회의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그들은 (특히) 앞으로는 프티 부르주아지 정당의 지위가...틀림없이 지금과 같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시간은 노동자의 편이라고 주장했다. 아래로부터의 압력은 그들에게 전에 없이 강력한 압박을 줄 것이고, 그들이 입헌민주당에 의해 대표되는 토지소유주들과 자본가들에 맞서 프롤레타리아트 정당과 동맹하도록 강제할 것이다.’[74]

 

어떤 의미에서, 즉각적인 무장 봉기에 대한 카메네프와 지노비에트의 반대는 1010일 이전까지 볼셰비키 내부에서 지배적이었던 주장과 다를 것이 없었다. 지난 몇 달 간의 논쟁이 시사했듯이, 온건 사회주의자들과 합의에 도달하려는 시도가 포기되어야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분명한 해답이 없었다.

 

더욱이 1917 10 월의 구체적인 상황에는 소비에트 권력을 향한 투쟁에 있어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에 대한 볼셰비키 당의 원칙적 주장과, 똑같이 폭 넓은 기반을 둔 노동 계급 체제를 수립하려는 노동자와 당 활동가들의 요구 사이에 매우 중대한 긴장이 있었다. 레닌, 트로츠키, 볼셰비키 중앙위원회는 후자의 목표를 포기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그 실현은 정치적 확신보다는 미래의 진전에 대한 내기에 가까웠다.

 

아마도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에 맞서 퍼부어질 주요한 비판은, 그들이 봉기의 조건이 보장 되었을 때 정치적 전환을 만들어내는데 실패했다는 것이었다. 비록 그들이 현실적인 정치적 딜레마와 위험을 지적했지만, 봉기에 대한 그들의 처음의 반발은 단순한 전략상의 차이로 축소될 수 없다. 온건사회주의자들과의 동맹을 소비에트 정부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취급하는 그들의 경향은 스스로 자본에 굴복한 채 남아 있는 정치적 힘에 볼셰비키가 굴복하도록 위협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트로츠키는 10월의 소수 지도부의 반발은 부르주아 사회의 머리 위에 죽음의 위협이 커지고 있었을 당시에 부르주아지의 공적 의견에 의해 당에 가해진 압박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며 이 점에서 물러나지 않았다.[75] 그러나 이러한 사항은 과장되어선 안 되는데, 왜냐하면 무장봉기의 개시에 대한 그들의 초기 반발에도 불구하고, 카메네프와 지노비예프 모두 결국 1025-26일 사이에 새로운 소비에트 정부의 설립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메네프는 소비에트 중앙 집행 위원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지노비예프는 1025일에 대해 다수의 선구적인 볼셰비키 논설들을 썼고, 소비에트 지도부의 신문인 이즈베스티야(Izvestiya)의 편집 발행인이 된다.[76] 실제 10월 봉기가 상당히 방어적이었고, 소비에트의 정당성과 상당히 결합되었었다는 것은, 넓은 범위의 사회혁명당 및 멘셰비키와 일치를 볼 수 있으리라는 볼셰비키 온건파의 희망이 아직 박살났던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의미했다.

 

비록 카메네프, 지노비에프 진영은 고참 볼셰비즘의 중요한 전략적 측면에 기대고 있었지만, 이러한 전통을 그들의 동요(wavering)로 축소시키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10월 중순에 다른 볼셰비키 지도자들은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의 반발과, 관련된 내전 위협에도 불구하고 프롤레타리아트 주도의 소비에트 정부 설립이 필수적이고 가능하다는 것을 확신했다.

 

우리가 보았듯, 소비에트 통치에 대한 당의 대수적인 입장은 다른 방향들로 발전될 수도 있었다. 그리고 볼셰비즘이 덜 열린 결말의 전략에 근거했었다 해도, 당은 여전히 외부의 강렬한 정치적 압력에 종속될 것이었으며, 여전히 최고의 순간에 도박에 도전하고 권력을 추진할 수단과 씨름해야 했을 것이었다.

 

볼셰비키는 임시정부를 전복한 1025일의 무장 행동에서 선도적인 조류였지만, 그들이 빨리 완전히 다수를 점할 것인지, 혹은 제 2차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비할 바 없는 광범한 과반수를 차지할 것인지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 알려졌듯, 비록 볼셰비키 자신들은 과반수에 미치지 못했지만(670명 중 300), 대표 대다수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이양하는 것을 지지했다. 그들이 원했다면, 비 볼셰비키 조류는 (카메네프가 의장직을 맡았던)의회와 새로운 정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비록 레닌은 분명히 볼셰비키 내각의 설립을 주창했었지만, 볼셰비키의 대표자들은 만장일치로 대회 개회에서 마르토프에 의해 만들어진 폭 넓은 다당제 사회주의 권력의 설립에 대한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넓은 소비에트 체제의 어떤 형식을 만들기 위한 가능성은 곧 온건파들의 사보타주와 새롭게 설립된 정부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다른 정치적 조류들의 거부로 인해 형해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롤레타리아트의 고립을 막으려는 볼셰비키의 바람은 무엇보다 사회혁명당의 토지 강령에 대한 새 정부의 즉각적인 이행과, 몇 주후 사회혁명당 좌파를 정권 내 소수 파트너로서 통합하는 모습으로 드러났다. 지역과 지방의 수준에서, 새롭게 설립된 소비에트 정부는 보다 넓은 대열의 정치적 조류들, 즉 비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들, 사회혁명당의 최대강령주의자들, 아나키스트들, 그리고 혁명적 민족주의자들을 아울렀다. 다만 1918년의 과정에서, 이들 동맹은 외국의 개입, 내전, 경제적 붕괴의 광풍에 의해 산산조각이 날 것이었다.

 

 

결론

 

1917년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볼셰비키의 입장에 관해 보다 많은 것이 논해질 수 있으나, 바라건대 앞선 논의가 그 입장의 전개에 대한 주요 윤곽을 명확히 하는 데에 충분했으면 좋겠다. 10월 혁명은 그것이 경제에 대한 노동자들의 통제를 역설하고 자본주의의 국제적 전복을적극적으로 진전시키려 했던-프롤레타리아트에 의해 주도되는 국가를 설립한 한에서만 사회주의 혁명으로서 정당하게 묘사될 수 있다. 그러나 볼셰비키 조류가 19174월부터 이러한 목표를 혁명의 필수적인 다음 단계로 간주했다거나, 볼셰비키가 그러한 정부의 설립을 사회주의 혁명과 동일시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결국, 볼셰비키의 전략 내부의 긴장과 모호함은 경제적으로 후진적이며 전쟁으로 황폐해진, 원래 농업 사회였던 곳에서 노동계급의 헤게모니를 증진시키는 일의 현실적인 사회, 정치적 모순을 반영했다. 사태의 진전은 노동자-농민 동맹의 필요성과 민주적 요구의 중심성에 대한 '고참 볼셰비키'의 강조를 크게 입증했다. 동시에, 1917년의 경험은 또한, 이 민주주의 혁명이 성공하려면 프롤레타리아트의 정부 지도가 필요하다는 트로츠키의 주장을 확인시켜줬다. 마찬가지로, 사태는 그 결과로 생긴 체제가 자본주의적 소유 관계들의 기초를 공격해야만 할 것이라는 그의 주장을 증명했다.

 

사회주의는 러시아 범위 내에 홀로 건설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소비에트 정부가 대면한 내적 모순을 확실히 해결할 유일한 방향은 노동자들의 통치가 널리 확산되는 것을 통해 구해질 수 있었다. 세계 혁명의 절박함과 필요성에 대해, 1917년에 모든 볼셰비키는 완전히 수렴했다.

 

물론 이러한 패배는 스탈린주의적 퇴보라는 예상치 못한 형태로 이뤄졌으나, 만약 고립된 채 남게 된다면 러시아 혁명은 패배하게 될 것이라는 자명한 이치는 증명된 셈이다. , 트로츠키의 영구 혁명론은 러시아 혁명의 경험에 의해 그 유효함이 증명되었으나, 레닌이 어떻게 볼셰비키를 재무장시켰는지에 관한 그의 논쟁적인 설명에 대해서도 똑같이 말할 수는 없다.

 

이 글을 읽고 얘기를 나눠준 론 리델, 토드 크레티엔, 라스 리, 찰리 포스트에게 감사를 표한다.

 

Works Cited

 

Acton, Edward 1990, Rethinking the Russian Revolution, London: Bloomsbury Academic.

 

Anweiler, Oskar 1974, The Soviets: The Russian Workers, Peasants, and Soldiers Councils, 1905-1921, New York, Pantheon Books.

 

Blanc, Eric 2017a, ‘Before Lenin: Bolshevik Theory and Practice in February 1917 Revisited’, Historical Materialism Blog. Accessed at: http://www.historicalmaterialism.org/blog/before-lenin-bolshevik-theory-and-practice-february-1917-revisited

 

Blanc, Eric 2017b, ‘A Revolutionary Line of March: “Old Bolshevism” in Early 1917 Re-Examined’, Historical Materialism Blog. Accessed at: http://www.historicalmaterialism.org/blog/revolutionary-line-march-old-bolshevism-early-1917-re-examined

 

Бош, Е. Б. 1925, Год борьбы. Борьба за власть на Украине с апреля 1917 г. до немецкой оккупации, Москва, Ленинград, Госиздат.

 

Chamberlin, William Henry 1935, The Russian Revolution 1917-21, Volume 1, London: Macmillan.

 

Commis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P.S.U. (B.) 1939, The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Bolsheviks), Short Course,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Corney, Frederick C. (ed.) 2016, Trotsky's Challenge: The “Literary Discussion” of 1924 and the Fight for the Bolshevik Revolution, Leiden, Boston: Brill.

 

Day, Richard B. and Daniel Gaido (eds.) 2009, Witness to Permanent Revolution: the Documentary Record, Leiden: Brill.

 

Джапаридзе, П. А. 1958, Избранные статьи, речи и письма 1905-1918 гг., Москв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полит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Elwood, Ralph Carter (ed.) 1974, Resolutions and Decision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Volume 1, The Russian Social Democratic Labour Party, 1898October 1917,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Galili y Garcia, Ziva 1989, The Menshevik Leaders in the Russian Revolution: Social Realities and Political Strateg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Getzler, Israel 1992, ‘Soviets as Agents of Democratisation’ in Revolution in Russia: Reassessments of 1917, edited by Edith Rogovin Frankel, Jonathan Frankel, and Baruch Knei-Paz,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edlin, Myron W. 1975, ‘Zinoviev's Revolutionary Tactics in 1917’, Slavic Review, 34, 1: 19-43.

 

Ибрагимова, 3. И. and М. С. Искендерсва (eds.) 1957, Большевики в борьбе за победу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в Азербайджане.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19171918 гг., Баку: Азербайджанск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Iskolats 1973, Iskolata un tā prezidija protokoli (1917.-1918.), edited by A. Spreslis, Rīga: Zinātne.

 

Kowalski, Ronald L. 1997, The Russian Revolution: 1917-1921, Hoboken: Routledge.

 

Mandel, David 1983, The Petrograd Workers and the Fall of the Old Regime: from the February Revolution to the July Days, 1917, New York: St. Martin's Press.

 

Mandel, David 1984, ‘The Intelligentsia and the Working Class in 1917’, Critique, 14, 1: 67-87.

 

Маркарян, Александр Рафаелович 1985, Деятельность большевиков Закавказья в период двоевластия, PhD Dissertation, Ерев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 Я. Брюсова.

 

Lenin, N. and Leon Trotzky 1918,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Russia, edited by Louis C. Fraina, New York: Communist Press.

 

Lenin, V.I. 1964a, Collected Works, Volume 24, Moscow: Progress Publishers.

 

Lenin, V.I. 1964b, Collected Works, Volume 26, Moscow: Progress Publishers.

 

Lenin, V.I. 1965, Collected Works, Volume 29, Moscow: Progress Publishers.

 

Lenin, V.I. 1966, Collected Works, Volume 31, Moscow: Progress Publishers.

 

Любовець, Олена and Валерій Солдатенко 2010, Революційні альтернативи 1917 року й Україна, Київ: Наукова Думка.

 

Longley, D.A. 1978, Factional Strife and Policy Making in the Bolshevik Party, 1912-april 1917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altic Fleet Organisations 1903-17),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irmingham.

 

Rabinowitch, Alexander 1968, Prelude to Revolution: The Petrograd Bolsheviks and the July 1917 Uprising,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Radek, Karl 1917, ‘Der Arbeiter- und Soldatendelegiertenrat’, Bote der Russischen Revolution. Organ der ausländischen Vertretung des Zentralkomitees der Sozialdemokratischen Arbeiterpartei Russlands (Bolschewiki), 3: 1-5.

 

Raleigh, Donald J. 1986, Revolution on the Volga: 1917 in Saratov,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Roziņš, Fricis 1965, Rakstu izlase, 3, Rīga: Latvijas Valsts izdevniecība.

 

RSDRP Central Committee 1974, The Bolsheviks and the October Revolution: Minutes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Russian Social-Democratic Labour Party (Bolsheviks), August 1917 - February 1918, London, Pluto Press.

 

РСДРП 1959 [1905], Третий съезд РСДРП. Апрель-май 1905 года: Протоколы, Москва: Госполитиздат.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Седьмая (апрельская) Всероссийская конференция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Петроградская общегородская конференция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Апрель 1917 года. Протоколы, Москва: Госполитиздат.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b [1917], Шестой съезд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Август 1917 года. Протоколы, Москва: Госполитиздат.

 

 

Service, Robert 1979, The Bolshevik Party in Revolution: A Study in Organisational Change, 1917-1923, New York: Barnes Noble Books.

 

 

Шаумян, С. Г. 1958, Избранные произведения, Tom 2 1917-1918 гг., Москва: Госполитиздат.

 

Shkliarevsky, Gennady Lazarevich 1985, The Russian Revolution and Organized Labor,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Шляпников, А. Г. 1992 [1923], Семнадцатый год, Москва: Республика.

 

Slusser, Robert M. 1987, Stalin in October: the Man Who Missed the Revolutio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Smith, S.A. 1983, Red Petrograd: Revolution in the Factories, 1917-191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mith, S.A. 2006, ’The Revolutions of 19171918’ in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Volume III: The Twentieth Century, edited by Ronald Grigor Sun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Солдатенко В. Ф. 2004, Георгій Пятаков: миттєвості неспокійної долі, Київ: Світогляд.

 

Stalin, J.V. 1953a, Works, Volume 3,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Stalin, J.V. 1953b, Works, Volume 4,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Stučka, Pēteris 1978, Rakstu Izlase, 2. sējums, Rīga: Liesma.

 

Treijs, R. 1977, ‘“Brīvais strēlnieks" padomju varas pirmajos mēnešos (1917.g. Oktobris - 1918.g. Februāris),’ in Latvijas Komunistiskās partijas stratēģijas un taktikas problēmas, 1917. gada Oktobris, edited by L. Malakhovska, V. Raevskiĭ, A. Favorskiĭ, Rīga: P. Stučkas Latvijas Valsts universitāte.

 

Trotsky, Leon 1969 [1906], The Permanent Revolution and Results and Prospects, New York: Pathfinder Press.

 

White, James D. 1985, ‘Early Soviet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the Russian Revolution 191824’, Soviet Studies, 37, 3: 330-352.

 

 

[1] ‘The Lessons of October’ [1924], Leon Trotsky, in Corney 2016, p. 101.

 

[2] Slusser 1987, p. 54.

 

[3] Commis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P.S.U. (B.) 1939, pp. 183-84.

 

[4] Many of Lih’s important pioneering contributions can be found here: https://johnriddell.wordpress.com/category/authors/lars-t-lih/ For my recent accounts of Bolshevism in February and March 1917, see Blanc 2017a and Blanc 2017b.

 

[5] For typical Menshevik claims about Lenin’s purported ‘anarchism’, see Rabinowitch 1968, p. 40.

 

[6] On the dubious analytical and factual accuracy of some of these memoir accounts, see Longley 1978, pp. 252, 337-38. On the evolution of early Bolshevik historiography concerning 1917, see White 1985 and the introduction in Corney 2016.

 

[7]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p. 18.

 

[8] ‘Letters on Tactics’ [1917] in Lenin 1964a, p. 48.

 

[9] Radek 1917, pp. 3-4.

 

[10] Getzler 1992, 30.

 

[11] ‘Letters on Tactics’ [1917] in Lenin 1964a, p. 48.

 

[12] Smith 2006, p. 134; Anweiler 1974, p. 157-58.

 

[13] Cited in Anweiler 1974, p. 171.

 

[14] ‘On the Soviets of Workers’ and Soldiers’ Deputies’ [1917] in Elwood 1974, p. 223. My emphasis.

 

[15] ‘Letter to Comrades’ [1917] in Lenin 1964b, p. 200.

 

[16] Любовець and Солдатенко 2010, pp. 82, 91.

 

[17] Солдатенко 2004, p. 100.

 

[18] Cited in Service 1979, p. 45.

 

[19] Cited in Маркарян 1985, p. 145.

 

[20] Cited in Galili y Garcia 1989, p. 157. Only by way of exception did the Mensheviks engage with the actual stance of their rivals. For instance, in mid-October Menshevik leader D. Kol’tsov argued that there was no ‘third way’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Marxist theory, he asserted, did not support the conception of a ‘semi-socialist revolution.’ (Cited in Shkliarevsky 1985, p. 330.)

 

[21] ‘Demokrātija un kapitālisms’ [1917] in Stučka 1978, p. 203.

 

[22] ‘What Next? After the July Days,’ Leon Trotsky [1917], in Lenin and Trotzky 1918, pp. 268-69.

 

[23] Шаумян 1958, p. 47.

 

[24] ‘What Next? After the July Days,’ Leon Trotsky [1917], in Lenin and Trotzky 1918, pp. 268-71.

 

[25] ‘Kо всем рабочим Бакинского района’ [1917] in

 

Ибрагимова and Искендерсва 1957, p. 179.

 

[26] Iskolats 1973, p. 29.

 

[27] ‘Политический кризис’ [1917] in Шаумян 1958, p. 22; ‘Новый взрыв революции в Петрограде’ [1917] in Шаумян 1958, p. 27.

 

[28] Treijs, R. 1977, p. 38; Raleigh 1986, p. 320.

 

[29] ‘Report on the Current Situation April 24 (May 7)’ [1917] in Lenin 1964a, p. 241.

 

[30]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pp. 15, 96;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b [1917], pp. 114, 132.

 

[31] ‘Kautsky on the Russian Revolution’ [1906], Leon Trotsky, in Day and Gaido 2009, pp. 574, 578. My emphasis.

 

[32] ‘To the Citizens of Russia!’ [1917] in Lenin 1964b, p. 236.

 

[33] For one of many such examples, see ‘Kо всем товарищам солдатам Kавказской армии’ [1917] in Шаумян, С. Г. 1958, p. 108.

 

[34] ‘Letters on Tactics’ [1917] in Lenin 1964a, p. 52; ‘Речь на заседании бакинского совета рабочих и военных депутатов’ [1917] in Джапаридзе 1958, p. 166.

 

[35] ‘Reply to the Discussion’ [1917] in Stalin 1953a, p. 133; ‘Speeches at the Sixth Congress of the R.S.D.L.P.(B.)’ [1917] in Stalin 1953a, p. 185.

 

[36]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b [1917], p. 119, 128, 133, 254.

 

[37] See, for example, the documents collected in Бош 1925, Chamberlin 1935, Ибрагимова С. Искендерсва 1957, Elwood 1974, RSDRP Central Committee 1974, Stalin 1953a.

 

[38] ‘Can the Bolsheviks Retain State Power?’ [1917] in Lenin 1964b, p. 105.

 

[39] Mandel 1984, p. 80.

 

[40] For the invocation of the category of socialist revolution in the post-October internal debates on Soviet power, see RSDRP Central Committee 1974. On the post-October general evolution of Bolshevik categorisations of the revolution, see, for example, the documents collected in Бош 1925, Chamberlin 1935, Ибрагимова С. Искендерсва 1957, Stalin 1953a, Stalin 1953b. Lenin’s descriptions of the October revolution continued to vary after 1917. Sometimes he called it a socialist revolution. (‘Theses on the Question of a Separate Peace’ [1918] in Lenin 1964b, p. 445.) Other times he called it fundamentally bourgeois-democratic. (‘Report of the Central Committee March 18’ [1919] in Lenin 1965, p. 157.)

 

[41]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p. 18.

 

[42] Roziņš 1965, p. 273.

 

[43] ‘Report On The Current Situation’ [1917] in Lenin 1964a, pp. 239-40.

 

[44] ‘Revolūcijas Burzmā’ [1917], in Stučka 1978, pp. 226-27.

 

[45] ‘Yellow Alliance’ [1917] in Stalin 1953a, pp. 267, 270.

 

[46] ‘О политическом положении,’ Пролетарий, 16 August, 1917. Significantly, these arguments were not included in Stalin’s collected works.

 

[47] ‘Speech at a Joint Plenum of the Moscow Soviet of Workers’, Peasants’ and Red Army Deputies’ [1920] in Lenin 1966, p. 397.

 

[48] ‘Report on the Current Situation’ [1917] in Lenin 1964a, p. 242.

 

[49]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p. 91.

 

[50] Smith 1983, p. 146.

 

[51] Shkliarevsky 1985, pp. 146-50, 190.

 

[52]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b [1917], p. 153.

 

[53] Cited in Mandel 1983, p. 153.

 

[54] On the nationalisation of industry and the related political issues, see, for example, Chamberlin 1965, Volume 2, pp. 96-116.

 

[55] Trotsky 1969 [1906], p. 70.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others, Rosa Luxemburg and Karl Kautsky in this period similarly advocated for Russia a governmental power in which the working class party would be the hegemonic force; neither of these two leaders equated the establishment of such a government with socialist revolution.

 

[56] See, for example, РСДРП 1959 [1905], p. 102-3.

 

[57] See, for example, Шляпников 1992 [1923], pp. 66, 165.

 

[58] ‘On the Soviets of Workers’ and Soldiers’ Deputies’ [1917] in Elwood 1974, p. 223.

 

[59] ‘Letters on Tactics’ [1917] in Lenin 1964a, pp. 44-46.

 

[60] Ibid., pp. 46, 51.

 

[61]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pp. 81-2.

 

[62]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a [1917], pp. 90-91.

 

[63] ‘Новый взрыв революции в Петрограде’ [1917] in Шаумян 1958, p. 28.

 

[64] ‘О Кадетском Съезде’ [1917] in Шаумян 1958, p. 61.

 

[65] ‘Report on the Political Situation’ [1917] in Stalin 1953a, p. 188.

 

[66] ‘The Farce of Dual Power’ [1917], Leon Trotsky, in Lenin and Trotzky 1918, p. 192.

 

[67] ‘On Slogans’ [1917] in Lenin pp. 188, 191.

 

[68] See, for example,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b [1917], pp. 114-17.

 

[69] For the full Sixth Congress resolutions see РСДРП (большевиков) 1958b [1917], pp. 253-76.

 

[70] Acton 1990, pp. 197-98.

 

[71] ‘On Compromises’ [1917] in Lenin 1964b, pp. 310-11.

 

[72] ‘Declaration by the Bolshevik Group’ [1917] in RSDRP Central Committee 1974, p. 40.

 

[73] ‘The Revolutionary Front’ [1917] in Stalin 1953a, p. 326.

 

[74] ‘Kamenev’s and Zinoviev’s Opposition to Insurrection’ [1917] in Kowalski 1997, p. 83.

 

[75] ‘Our Differences’, Leon Trotsky, in Corney 2016, p. 310.

 

[76] For one of the few serious accounts of the late year moderate Bolshevik opposition, see Hedlin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