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4

화이트 큐브의 종언과 ‘컬러풀 홀’로의 이행: 동시대의 미술관은 무엇을 꿈꾸는가 (부산시립미술관 《과거는 자신이 줄거리를 갖고 있음을 드러낸다》(2023.9.26-12.17) 전시 연계 비평프로젝트 [미술관과 그 친구들]에 선게재됨) https://www.bma.reviews/ 미술관과 그 친구들 www.bma.reviews 화이트 큐브의 종언과 ‘컬러풀 홀’로의 이행: 동시대의 미술관은 무엇을 꿈꾸는가 정강산 “관리되는 세계에 의해 완전히 주조되지 않은 사람만이 그것에 대항할 수 있다.” -T.아도르노 2022년 4월, 부산시립미술관의 전시 는 휴양공간으로서 미술관을 전면에 내걸었다. 전시 자체가 “예술을 즐기는 공간이자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여가를 탐문하는 공간”을 표방한 만큼 각종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이 핵심이었다. 전시장 내 요가, 체조, 명상, 강연 등이 이뤄지는 공간이 할.. 2023. 11. 30.
윤석열 정부의 소수자 탄압 양상 [문화과학 115호 (2023 가을, 9월) '동시대 분석'란에 선게재됨] 윤석열 정부의 소수자 탄압 양상 정강산 “이것은 하늘이 내린 계시입니다. 부총리 각하! 만약 이번 방화가 내 짐작대로 공산주의자들의 소행이라면 우리는 이 악랄한 병균에 철퇴를 가해야 합니다!” -히틀러 “퀴어들의 파티장을 열어준 대구경찰청장은 대구시 치안 행정을 맡을 자격이 없다” -홍준표 “여성가족부 폐지” -윤석열 우파 정부 하의 소수자 탄압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것은 노동자로, 여성으로, 타인종으로, 공산주의자로, 성소수자로, 난민으로, 이주민으로 대상을 달리하며 전개되어왔다. 여기서 소수자는 어떤 위상적 단일함에 ‘차이’와 ‘균열’을 도입하는 자로서 철학적 의미의 ‘타자’라 해도 좋다. 헤겔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들은.. 2023. 11. 30.
절대자본주의와 미술: 심화된 매개 속 자유의 공간은 어디에? [일민미술관 여름특강 (2022.7.23- 2022.8.21)을 위한 강의노트] *본고의 수정본은 문화과학 112(2022년 겨울)호에 "절대자본주의와 미술: 불안정의 정동, 카지노, 신생공간, 예술노동"으로 선게재됨. 절대자본주의와 미술: 심화된 매개 속 자유의 공간은 어디에? 정강산 과거의 방식을 답습하지 말라. 투자 방식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시도하라. 이제는 ‘올드 마스터’보다 ‘현대미술’이 유망하다. 단, 본인이 이해하지 못한 작품을 사서는 안 된다. -Philip Hoffman 문화는 패러독스한 상품이다. 문화가 완전히 교환법칙 밑에 종속되게 되면 문화는 더 이상 교환 불가능한 것이 된다. 다시 말해 문화는 맹목적 소비로 해체되면 더 이상 소비할 수 없는 것이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문화와 .. 2023. 11. 29.
주피터 프로젝트 no.2 [공간 힘 전시 (2022. 12. 6 - 12. 23)를 위해 작성한 서문] 아카이브 페이지: https://spaceheem.com/jupitr/ 주피터 프로젝트 JUPITR PROJECT spaceheem.com 《주피터 프로젝트 no.2》 2015년, 민간 운송업체(FedEx)를 통해 오산 미 공군기지에 들어온 탄저균 샘플은 한국 사회에 파란을 몰고 왔다. 생물학무기 방어체계를 표방하며 사실상 생화학(biochemistry) 실험이 한국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한 ‘주피터 프로그램(JUPITR Program)’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다.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더불어 수많은 활동가들이 이를 공론화해왔다. 그러나 2021년을 기점으로 전국 단위로 운동을 확장하려던 계획은 한없이 지연되어, .. 2023.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