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The Poorer Nations: A Possible History of the Global South

by 정강산 2020. 3. 18.

In 1928, the anticolonial leaders gathered in Brussels for a meeting of the League Against Imperialism. This was the first attempt to create a global platform to unite the visions of the anticolonial movements from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Considerations of expediency and the convulsions of World War II blocked any progress on such a platform. It would have to wait until 1955, in Bandung, Indonesia, when a smattering of newly independent or almost independent African and Asian countries sent their leaders to confer on a planetary agenda. The Bandung dynamic inaugurated the Third World Project, a seemingly incoherent set of demands that were actually very carefully worked out through the institutions of the United Nations and what would become, in 1961, the Non-Aligned Movement (NAM).

->반제국주의동맹에서부터 반둥회담, 비동맹운동으로 이어지는 제3세계 기획에 관한 개괄.

 

No wonder that the first concrete task after the formation of the Non-Aligned Movement in Belgrade was to send India’s Nehru and Ghana’s Nkrumah to Moscow, and Indonesia’s Sukarno and Mali’s Keita to Washington, carrying the NAM’s Appeal for Peace. Kennedy and Khrushchev offered the typical bromides, but did not reverse the tensions that intensified with the building of the Berlin Wall and the tank standoff at Checkpoint Charlie. The Third World Project kept faith with the Bandung communiqué, which called for “the regulation, limitation, control and reduction of all armed forces and armaments, including the prohibition of the production, experimentation and use of all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o establish effective international controls to this end.”3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of 1957 was a child of Bandung, and a cornerstone of the Third World Project.

->프라샤드가 제3세계 기획의 한 부분으로 제시한 평화에 관한 개괄. 비동맹운동의 첫 번째 행동은 인도의 네루, 가나의 응크루마를 모스크바에,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와 말리의 케이타를 워싱턴에 보내 평화에 대한 호소문을 전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모든 대량 살상 무기의 사용, 실험, 생산 등을 금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군비경쟁을 멈출 것을 주문했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실효성있는 국제기구를 만들고자 했다. 그 연장에서 국제원자력기구는 제3세계 기획의 시금석으로서 반둥회담의 직접적 성과였다.

 

The new nations of Africa and Asia, and the renewed national agendas of Latin America, explicitly recognized that the countries they had seized were impoverished. Any direction forward would have to confront the legacy of colonial economywith the advantages seized by the Atlantic powers and the trade rules drawn up to benefit those historical, not comparative, advantages. Economists like Raúl Prebisch of Argentina, who would become the first director-general of the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challenged the Atlantic institutions such as the General Agreement on Trade and Tariffs (GATT) and the IMF, which Prebisch called “a conspiracy against the laws of the market.” When Prebisch took the helm at UNCTAD, the economic arm of the Third World Project, he announced the need for a “new order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so that the market functions properly not only for the big countries but the developing countries in their relations with the developed.”4 It was out of this general framework that the Third World fought for a revision of the “free trade” agenda, for better commodity prices, for primary goods cartels (out of which came OPEC), and for a more generous policy for the transfer of investment and technology from North to South. Fought at each turn by the Atlantic powers, the Third World took refuge in the UN General Assembly with the 1973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resolution. It was the highest point of the Third World Project.

->. 이는 제3세계의 식민적 경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가리키는 비자이의 은유다.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후식민적 국가들은 식민적 경제를 청산하고 대안적인 경제질서를 구축해야할 과제를 앞두고 있었다. 유엔무역개발 회의의 첫 번째 의장이 된 프레비시와 같은 경제학자들은 무역과 관세에 대한 일반 협정(GATT) IMF 등과 같은 대서양의 기구들에 도전했다(자유무역의 신봉자였다가 그 속에 내재한 권력관계를 발견하고 돌아선 프레비시의 전력에 어울리게도, 마치 브로델이 독점, 과점 등을 염두에 두며 자본주의를 시장법칙에서 벗어난 체제로 간주하듯 그가 GATT, IMF 등을 시장법칙에 맞서는 음모라는 식으로 간주했던 것은 흥미롭다). 그들은 자유무역의 개정, 더 나은 상품가격, 기초재 카르텔, 북구에서 남구로의 기술과 투자에 있어 더 관대한 정책을 위해 싸웠다. 3세계 기획은 한편으로 유엔총회에 자리를 잡고 1973년 신국제경제질서 보고서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프라샤드가 제3세계 기획의 최고점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The NAM, created in 1961, was designed as a secretariat of the Third World Project, with the Group of 77 (1964) to act on its behalf in the United Nations. The founders of the NAM (Nehru of India, Nasser of Egypt, Sukarno of Indonesia, and Tito of Yugoslavia) recognized that little of their agenda would be able to move forward without a more democratic international structure. The UN had been hijacked by the five permanen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The IMF and the World Bank had been captured by the Atlantic powers, and the GATT was designed to undermine any attempt by the new nations to revise the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t was hoped that the NAM, and the G77, would put pressure on both the West and the East to afford political space to the new nations. It was not to be. Nigeria’s foreign minister, Jaja Wachuku, came to the United Nations on September 30, 1963, and put the problem plainly: “Does this Organization want the African States to be just vocal members, with no right to express their views on any particular matter in important organs of the United Nations[?] Are we going to continue to be veranda boys?”5 The implication was that the NAM states would watch from the balcony while the five permanent members controlled the debate within the UN.

->61년 출발한 비동맹운동은 제3세계 기획의 사무국이었고, 유엔 내에서 제3세계의 의제를 대표하려 기획된 G77과도 관련된다. 비동맹운동의 주창자 네루, 티토, 수카르노, 나세르 등은 더 민주적인 국제적 기관/구조를 만들지 않으면 제3세계의 의제는 힘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일찍이 IMF와 세계은행 등은 대서양의 힘에 전유되어 왔었고, GATT 또한 제 3세계의 경제질서 개정시도를 무력화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었다. 나이지리아 외무장관의 한탄은 유엔이 어떻게 북반구 국가들의 힘에 의해 돌아가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런 맥락에서 제3세계 기획의 중요한 부분중 하나는 또한 (민주적)‘정의였다.

 

THE ATLANTIC PROJECT

Nothing important can come from the South. The axis of history starts in Moscow, goes to Bonn, crosses over to Washington, and then goes to Tokyo. What happens in the South is of no importance.

 

Henry Kissinger, 1969

->3세계 프로젝트에 대응하여 나타난 북반구의 반동적 기획으로서 대서양 프로젝트에 관해 얘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69년 당시 미국 대통령 안보보좌관이자 이후 국무장관을 맡은 헨리키신저의 발언은 북반구와 남반구 사이에 놓인 4차원의 벽을 여실히 보여준다.

 

In 1975, the seven leaders of the major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met in the Château de Rambouillet to decide the fate of the planet. They were the Group of 7: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Italy, Japan, and Canada. The Rambouillet gathering was their first formal meeting. The G7 leaders were detained by four facts. Three of them were encumbrances that they wished to do away with:

 

1. The social-democratic agenda that many of them emerged from had now become expensive (in terms not only of the social wages that had to be paid, but also the wage packets to the restive workers).

 

2. The communist agenda, which had become more accommodating, but was still able to offer those restive workers an alternative.

 

3. The Third World Project, whose most recent instantiationsthe Oil Weapon of 1973, accompanied by the demand for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NIEO)had come as a genuine shock.

 

These three horizons needed to be abandoned. The fourth problem was a more general one, and it ended up being the solution to their other three irritants: the new geography of production.

->G7은 자국 내 임금수준과 사회임금 등 사회민주주의적 의제, 힘이 빠졌으나 여전히 위험한 공산주의에 대한 의제, 점점 거슬리는 제3세계 의제 등을 논의하고 그에 대책을 세우고자 75년 처음으로 회의를 가진다. 여기에는 새로운 생산의 지리학에 관한 논의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앞선 쟁점들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신자유주의가 기획되고 표명되는 과정 중 중요한 순간이다. 이어 비자이는 올바르게도 하비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묘사(<신자유주의: 간략한 역사>에서 제기된)에 빈 부분이 있음을 지적하며, 신자유주의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바로 제3세계 기획의 무력화라고 지적한다.

 

What matters is the emergence of the new geography of production, viz. the disarticulation of Northern Fordism, the emergence of satellite and undersea cable technology, the containerization of ships, and other technological shifts that enabled firms to take advantage of differential wage rates. In Schmidt’s case, the wages of East Asia.

 

Resistance to transnational corporations had been quite strong until the late 1970s, when the Third World Project went into a tailspin, assassinated by the enforced debt crisis. For example, the United Nations Centre on Transnational Corporations spent its energy for three decades defining a code of conduct for transnational firms. It was substantially dissolved in 1992, and became a fixer for corporations rather than a regulator of their business practices.

->부채위기로 제3세계 각국이 초토화되기 전, 1970년대 후반까지는 초국적 기업에 대한 저항이 제법 강했다. 예컨대 유엔 초국적 기업 센터는 약 30년간 초국적 회사들에 적용되는 행동수칙을 만들려고 노력해왔다. 92년에 그것은 실질적으로 와해되고, 규제적인 역할이 아니라 수정/보완의 역할로 축소된다.

 

Neoliberalism had a polycentric revivalin the G7, of course; but so too in the capitals of the Pacific Rim and in the emergent “locomotives of the South” (Brazil, India, South Africa, and China). The ruling classes in these societies had, like their European and American cousins, long wanted to abandon the cultural strictures of old Nationalism: the requirements of the social-democratic Welfare State in the Atlantic sector; and the requirements of the anticolonial Third World State in the continents of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Small pockets of elite opinion harbored resentment at the anticolonial heritage. Out of these pockets came new intellectual agendas, including the revival of the Hayek school of liberalism, holding that the state must be excluded from economic activity as much as possible. Cultural ideas of individualism and enterprise were celebrated in the corporate media, at the expense of the national liberation ideas of socialism and the collective good.

->신자유주의의 침투가 곧 후식민적 상황을 대안적으로 돌파할 수 없게 만든 과정에 대한 개괄.

 

It was fitting for them that the new postcolonial states had failed in so many ways; the failures were used as a measure to push for their own agendas. These elites produced their own neoliberalism in response to the same debt crisis that had opened their countries up to the factories of the North.

->3세계 국가의 반동적 엘리트들의 매판적 성격에 대한 개괄

 

By the 1980s the reinvigorated Atlantic bloc was fighting back aggressively against the NAM and all talk of a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At the Cancún meeting in 1981 to discuss the ill-starred Brandt Report, Ronald Reagan and Margaret Thatcher came to throw down the gauntlet. Reagan mocked the proceedings, particularly those “who mistake compassion for development, and claim massive transfers of wealth somehow, miraculously, will produce new well-being.” The North-South dialogue was effectively ended.

->레이건과 마가릿 대처는 81년 멕시코의 칸쿤에서 만나 남반구와 북반구의 불평등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길 요구한 브란트 보고서에 관해 회의한 바 있고, 레이건은 대놓고 제3세계 기획을 조롱했다.

 

The corridors of the IMF and the World Bank were scrubbed clean of old Keynesians and developmentalists. Only marginalists and neoliberal thinkers were welcome into the leadership.(...) The UN too had to be cleansed. When he briefed Daniel Moynihan for his new UN post, Henry Kissinger told him, “We need a strategy. In principle, I think we should move things from the General Assembly to the Security Council. It is important to see that we have our confidence and nerve.” He wanted the US to “get hold of the Specialized Agencies,” such as UNCTAD and UNESCO, and turn them to the “business civilization” of the North.

->애초 세계대전 이후 국제경제질서의 재구축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IMF와 세계은행에서 발전론자들과 케인즈적 기획은 이제 지워졌고, 유엔 또한 그렇게 되었다. 헨리키신저는 유엔 총회를 제끼고 유엔 안보리를 밀기를 사주하고, 미국의 힘을 보여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변하며, 실제로 그렇게 했다. 유엔무역개발회의와 유네스코와 같은 기관들을 잡아서 북반구의 호구로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Having excised the institutional threats to the Atlantic project, the G7 moved to use the debt crisis of the 1980s to its advantage, pushing through a new intellectual property and trade regime to consolidate the gains of the North against the South. By the time the NAM met in New Delhi in 1983, the exhaustion of the Third World Project before the fierce thrust from the North was evident. There was to be no effective political strategy to deal with the debt crisis. The Southern countries were willing out of political necessity to see the Club of Paris and the Club of London one by one, receiving their structural adjustment orders so as to extend their credit lines. More radical voices called for a debtors’ strike, but this fell on deaf ears. The problem was not the debt itself. The problem lay with the power asymmetry, the favored countries being able to refinance their debts on favorable rates from the bank cartels, as well as having lower risk premiums than other countries. The North could command the banks.

-> 아래의 우루과이 라운드에서 드러나듯, 남반구에 맞서 지적재산권과 북반구의 이익을 관철시키는 새로운 무역 체제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G780년대의 부채 위기를 잘 활용했다. 83년 뉴델리에서 모인 비동맹 운동은 이미 고갈되어 있었다. (아마 피델 카스트로가 제안했던)부채 파업과 같은 기획도 있었지만 힘이 없었고, 남반구 국가들은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구조조정을 감내하고 차례로 파리 클럽, 런던 클럽으로 가고자 했다. 문제는 빚 자체가 아니라 힘의 비대칭성이었는데, 부유한 국가들은 유리한 이자율로 은행 카르텔로부터 금융을 조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Rather than a South-led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the world had to live with a North-led New International Property Order. The Uruguay Round of the GATT changed the intellectual property regime so that reverse engineering or transfer of technology became illegal. The North and its businesses would be able to outsource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to the South, but the bulk of the profits for their sale would be preserved as rent for intellectual property (this was the process that produced “jobless growth” in the North and led to the debt-fueled consumerism indulged in by its vast massa social imbalance that has now exploded, first through the housing market, and soon after through the personal credit market).

->이렇게 세계에는 남반구가 주도하는 신국제경제질서가 아니라, 북반구가 이끄는 신국제자산질서가 정착되었다. GATT의 우루과이 라운드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나 기술 이전을 불법화 했다. 북반구는 남반구에 상품생산을 외주할 수 있지만, 그 판매로부터 온 막대한 이윤은 지적 자산에 대한 지대로 수취될 것이었다. 이는 북반구에서 고용없는 성장을 만들어낸 과정이었고, 동시에 빚에 의해 추동되는 소비주의 등으로 이어졌다).

 

여기서 세계의 저항은 다음과 같은 실재를 상대한다. 1.강요된 긴축재정, 2.FIRE (금융, 보험, 부동산)부문의 지배, 3.재앙에 가까운 실업.

 

Global unemployment is at spectacularly high levels, with an “alarming” future for joblessnes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s World of Work Report 2012. Young people are nearly three times as likely as adults to be unemployed. An estimated 6.4 million young people have given up hope of finding a job.

-> 국제노동기구의 2012년 세계노동보고서가 말해주는 세계적 불황의 지표. 이를 통해 우리는 세대갈등의 실체를 알 수 있다. 일부 지식인들은 조국 전장관의 딸과 관련된 스캔들에 대한 젊은 세대의 반응이나 3저 호황 시기를 선망하(며 기성세대에 원한을 비치)는 젊은 세대를 두고 한국 사회에서 자본주의의 모순은 세대간 갈등으로도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하지만, 고용을 둘러싼 세대 간 격차는 한국만의 문제도 아닐뿐더러, 그 격차 자체를 세대 간의 문제로 간주할 수도 없다.

 

3에 이어, 4. 이 실업의 배경이 되는 붕괴된 국가지원 네트워크, 사회적 유대의 약화, 상품 투기에 의해 촉발되어온 범죄적으로 높은 식량과 원료가격. 로마의 식량농업국은 세계의 기아가 10억에 달했다고 보고했고, 2008년 이후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에서 식량폭동이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5. 학교, 건강, 식량 등에 대한 지출에 비해 상당히 높은 군대, 경찰, 감옥, 비밀경찰(Mukhabarat)등에 대한 재정지출. 프라샤드는 이를 신자유주의의 논리적 결과로 얘기하고 싶어한다. 즉 신자유주의는 항상 철권을 동반한다는 것. 사회적 결속이 사라진 상태에서, 감옥-산업 복합체(prison-industrial complex)에 투자하고, 여기에 사람들을 처넣는 것은 이윤만 보장한다면 매우 합리적인 결정이다. 6. 1퍼센트의 부호가 전세계 자산의 40퍼센트를, 10퍼센트의 부호가 전세계 자산의 85퍼센트를 소유하는(2008년 유엔 보고서) 극심한 불평등.

 

상이한 전 세계의 봉기들(From Occupy Wall Street to Tahrir Square, from the Kennedy Road shack settlement in Durban to the rural hamlets of Haryana)은 이런 질서에 그만이라고 말한다는 점에서 합쳐진다.

 

The “global South” has come to refer to this concatenation of protests against the theft of the commons, against the theft of human dignity and rights, against the undermining of democratic institutions and the promises of modernity. The global South is this: a world of protest, a whirlwind of creative activity.

->대안적 세계질서에 대한 이상을 위한, 인간적 존엄과 공통재에 대한 탈취를 저지하기 위한 저항으로서의 남반구의 가능성을 역설하는 프라샤드.

 

The global South is this: a world of protest, a whirlwind of creative activity. These protests have produced an opening that has no easily definable political direction. Some of them turn backwards, taking refuge in imagined unities of the past or in the divine realm. Others are merely defensive, seeking to survive in the present. And yet others find the present intolerable, and nudge us into the future.

->그가 마냥 낭만만 품고 있는 것은 아니다.

 

The South Commission toiled in the unfavorable climate of the 1980s. Shunned by the North, the Commission made a virtue of necessity: it called for South-South cooperation, its general secretary, Manmohan Singh, offering the view that “the new locomotive forces have to be found within the South itself.” It was this thinking that provided the calculations for the creation of the Group of 15 (at the 1989 NAM summit), then the IBSA Group (India, Brazil, South Africa) in 2003, and eventually the BRICS formation (Brazil, Russia, India, China, South Africa) in 2009. These groups were seen as the locomotives of the South.

 

The IMF’s 2011 report suggests that by 2016 the United States will no longer be the largest economy in the world.14 This is, as the historian Fernand Braudel put it, the “sign of autumn” for Atlantic hegemony.15 Signals of decline are visible in the fragile economic fundamentals in the Atlantic states, with the red light of caution burning bright over the dominance of finance in the economy and the increase in military spending. Since 2001, the United States alone has spent $7.6 trillion on its wars and its national security apparatus. This has accompanied massive cuts in social spending and tax breaks for the rich (in 2011, the top 1 percent in the United States earned an average tax cut greater than the average income of the other 99 percent). When, in 1925, it became clear that the United Kingdom’s autumn was at hand, Winston Churchill proclaimed, “I would rather see finance less proud and industry more content.”16 These words would apply to the dominance of the stock exchanges of Wall Street, the City of London, and elsewhere over the lifeblood of the social economy.

->89년 비동맹운동의 소집 단위였던 G15, 2003년의 IBSA Group, 현재 남반구의 견인차 역할을 할 유력한 경제블록으로서의 2009년의 BRICS 모두- 남반구 위원회(The South Commission)의 이상에 입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IMF2011년 보고서가 제시하듯 중국의 추격 등으로 인해 미국의 세계 패권이 흔들리게 되면서, 대서양세력의 헤게모니에 가을의 신호가 찾아왔으나,

 

Though, according to IMF projections, China will be the largest economy in 2016, it does not appear to wish to assert itself alone. China appears content to share the stage with the BRICS states, and to push for multipolarity and economic diversity. But the BRICS platform is limited in several ways:

 

-> BRICS는 몇몇 방식으로 제한되어있는 상태다.

 

브릭스 국가들의 국내 정책은 남반구적 특색의, 즉 상품판매와 북반구에 대한 신용으로서 남겨진 재순환되는 잉여를 동반하는 저임금을 특징으로 하는 신자유주의로 간주될 법한 일반적인 흐름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인도의 인민들은 인도의 성장률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기아와 빈곤에 시달린다. 이들은 사회적 부를 이전 지출(transfer payments)이나 더 튼튼한 사회임금을 만드는 데에 쓴다기 보다 외려 글로벌 경제가 위기로부터 회복하는 것을 돕는 데에투자를 하라는 세계은행 총재 Robert Zoellick의 권고를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북반구에 의해 견인되는 남반구의 견인차들을 만드는 것에는 어딘가 외설스러운 구석이 있다.

브릭스는 그들의 부상하는 권위를 위한 새로운 제도적 기관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유엔, IMF, 세계은행 등에서 더 많은 민주주의를 호소하고 있으나, 이 호소는 거의 출로를 만들지 못했다. 금융위기의 정점에서 G8()재기하고 G20에 대한 그들의 역할을 관두겠다고 했으나 그건 잊혀졌다. IMF 투표에서의 브릭스의 미약한 증가는, 남반구로 하여금 2011IMF의 집행부가 될 공동 입후보를 제시하게 하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브릭스의 구성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대안을 승인하지 않아왔다. 더욱 지속가능한 경제 질서를 만들 것에 대한 많은 제안이 있었지만, 이들은 주변으로 밀려났다. 리오 안과 같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최소치가 아니라, 광범한 정책들에서의 구별되는 차별 대우를 허용하는 수세적인 것이 있으나 생산적이고 실정적인 대안은 없다.

브릭스의 기획은 미국과 나토의 군사적 지배를 고립시킬 능력이 없다. 1973년 리비아에 대한 결의안에서처럼 UN이 모든 필요한 조치(제재)를 허용하는 투표를 하게 되면 북반구의 군사적 행동의 고삐를 풀게 된다. 이를 상쇄할 지역적 대안은 없으며, 미국은 전세계에 군사기지를 가지고 있다. 평화를 위한 지역적 체계와 분쟁 해결안은 나토와 미국에 의해 약화되었다.

이 시스템의 내실을 들여다보면 결국 문제는 기술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 해결책을 요구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특성, 관습, 힘의 사회질서 전체가 급진적으로 재고안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 우리가 아직 우리가 가져보지 않은 공간을 향해 갈 수 있는 전략 전술이 되어야 하느냐는 것이다. 전지구적 남반구는 투쟁과 전략의 장소이자, 열려있는 이야기다.

 

1장에선 신국제경제질서의 등장과 그 배경을 언급하고, 3세계적 이상의 개괄하며, 브란트 위원회와 제3세계 기획의 몰락이 G7을 필두로 한 북반구 국가들의 자유주의 및 신자유주의의 대두에 연결된 것임을 상론한다. 부채 위기와 우루과이의 GATT 회의가 세계질서를 휘어잡았을 때 전 탄자니아 수상 줄리어스 니에에레와 남반구 위원회는 대안을 찾고자 했다. 그들의 해결책은 남반구 간의 협력남반구의 견인차라는 아이디어에 놓여있었고 이는 브릭스의 구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2장에선 남반구 위원회 내부의 논쟁들을 상론하는데 이는 비천한 경제적 정치적 노예상태의 조건에 놓인 남반구를 위한 이론적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3세계의 기획의 요소들로부터 비롯된, 부채 위기의 정체기에 갖힌, 지금은 남반구의 견인차로 추진된 브릭스 국가들은 그들 나름의 남반구적 특색을 갖춘 신자유주의의 변형태를 발전시켰다.

3장에선 브릭스의 부상의 간결한 역사를 다루는데, 물론 브릭스는 여러모로 온건하고 혁명적 전환을 약속하지도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 이들은 지난 30년 중 전지구적 북반구의 공고한 정통성에 도전하는 첫 번째 시도였다. 브릭스가 가능케 한 것은 신자유주의적 제국주의의 정체된 공기를 환기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것이었다. 이들은 각자 나름의 신자유주의에 천착하고 있으나 제국주의적 힘 앞에서 더 이상 굴복하려하지는 않는다. 브릭스를 남반구 블록으로 제시할 기회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제국주의적 힘이라는 이 간극에 놓여있는 것이다.

4장에선 위로부터의 남반구가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남반구의 가능성을 다룬다. 사안별 구성, 세계사회포럼에 모인 사회운동들 간의 남반구의 국제주의의 잠재성에 관해 이야기 한다. 이들 운동은 신자유주의적 정책이 어떤 합법성도 갖지 않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는 대체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1. 신자유주의가 중앙은행들과 다각적인 금융기관들을 통해 제도적 힘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직업 및 인간 삶의 활력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에 전념한다. 브릭스 관료들과 다른 좌파 정당들이 다른 상상을 발휘할 정책의 공간은 거의 없는 것이다. 2. 또한 노동을 기계로 대체하는 자본주의의 장기적 경향을 고려해야한다. 이들 자체는 노동을 점차 궁지로 몰아넣으며 생태적 재난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나 기계화의 산물이 소수에 의해 전유되지 않는 한에서 또한 여가를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아무튼 신자유주의는 어떤 방식으로든 이제 더 이상 정당성을 주장할 수 없으며, 신자유주의 국가들은 끝났다. 이제 그동안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온 것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은 그에 대한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