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아도르노, "존재와 실존", <부정변증법>, 한길사, 1999. 발제문
El Lissitzky, Preliminary sketch for a poster(1920) T. 아도르노, , 한길사, 1999. 제 2장 “존재와 실존” 165-206p 발제문.정강산 인용구의 모든 강조는 발제자에 의한 것입니다. 핵심어: 주체, 객체, 매개, 부분, 전체, 존재론, 연루상태, 단일한 것(das Eine), 긍정적인 존재(positives Sein), 존재적인 것, 현존재, 존재자, 존재론적인 것, 존재교리의 양가성(Ambivalenz) 아도르노는 이 장에서 하이데거의 존재 개념을 지탱하는 전제들을 분석하고, 그것을 비판하며 해체하는 데에 논의를 집중한다. 하이데거의 전제들에 대한 반 테제로서 그가 내세우는 주장은 다음의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주체-객체의 이원론을 유발한 기제들..
2017. 4. 13.
신자유주의,오디션,아트스타코리아: 만국의 예술가여 단결하라
2014, 4, 14에 작성된 글Alexandr rodchenko, chess table design(1925) "우승자는 창작지원금 1억 원과, 유수의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기회, 해외 레지던시를 누릴 기회를 받게 됩니다. 끼와 열정, 재능이 있는 아티스트를 모집 합니다" 예술계에 몸담고 있는 수많은 이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아트스타코리아가 3월 30일 첫 방영을 시작했다. 방영 이전부터도 그랬지만, 방영 이후에도 도처에서 갑론을박이 뜨겁게 펼쳐지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프로그램의 기획은 명실상부한 파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논쟁의 핵심적 주장들은 거칠게 다음과 같이 분리될 수 있을 텐데, 초야에 묻혀있는 재능 있는 예술가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2017. 4. 3.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으로부터 현대물리학을 떼어낼 수 있을까?
2016, 2, 16에 작성된 글 Viktor Popkov, Builders of the Bratsk Hydroelectric Power station(1960) 흔히 상대성이론, 양자역학을 비롯한 현대물리학의 발견들은 으레 포스트모더니즘과 불가지론을 지탱하는 철학적 담론들, 국소성, 개별성, 차이, 다양성 등의 개념들에 친화적인 것으로 독해 되어왔다.이런 현대물리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대략 다음과 같다: 본질주의적이고 구축적인 뉴턴식 물리학이 가정했던- 천체의 등속운동과 질량 보존의 법칙들에서 발견되는- 전제들은 보편적인 세계, 우주의 법칙 일반을 설명해줄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빛의 입자들이 지니는 질량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대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순수한 관측이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
2017.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