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4 문화와 적대 / "적대라는 이름 속에 무엇이 있는가?- 정강산의「문화와 적대」에 관한 토론문"(정용택) (뉴래디컬리뷰 2022년 봄호에 선게재된 글입니다.) 문화와 적대 정강산 “소비자가 직접 분류할 무엇은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다. 생산자들이 소비자를 위해 그러한 분류를 다 끝내놓았기 때문이다. (...)전 세계는 문화 산업이라는 필터를 통해 걸러진다.” -Th. W. 아도르노. 1 문화란 무엇인가? 이것은 동시대의 문화 양상을 논하기 위해 선취되어야 할 질문이다. 그러나 ‘문화’의 정의에 따르는 애매함과 곤란함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문화의 범주에 관한한 수많은 모델들이 각축해왔고, 여전히 각축을 거듭하고 있다. 그리하여 실정적인 대상으로서 문화를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은 ‘문명’과 ‘생활양식’에서부터 ‘규범’과 ‘상징체계’에 이르는 모델들의 언저리에서나마 잠정적인 규정에 도달하곤 한다. 그러나 본.. 2022. 4. 30. 표층사(surface-layer history): 주피터 프로그램의 전개 과정_공간힘 <주피터 프로젝트>(2021.12.3-12.30) 아카이브 표층사(surface-layer history): 주피터 프로그램의 전개 과정 1998. 9. 세계 미군기지 중 처음으로 한국 오산기지에 탄저균 실험시설을 갖추고 백신을 대량 공급. 2009. 11. 23. 오바마, 취임 후 두 번째 대통령정책지시(PPD-2)로 ‘생물학적 위협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의 시행’ 하달. 2009. 12. 9. 미국, 생물학적 위협 대응전략(National Strategy for Countering Biological Threats) 공표. 2010. 7. 2. 오바마 행정명령(EO-13546), ‘미국의 생물작용제와 독소에 대한 보안 최적화’ 하달...“생물학적 작용제와 독소를 활용하기 위한 강력하고 생산적인 과학적 모험은 국가안보의 핵심.” 2010-2011. 미 국방부 주.. 2022. 2. 11. 중층사(middle-layer history): 20세기 이후 한국의 민족적 알레고리 계보_공간힘 <주피터 프로젝트>(2021.12.3-12.30) 아카이브 중층사(middle-layer history): 20세기 이후 한국의 민족적 알레고리 계보 1908. (이인직) 1918. (이광수) 1919. (주요한) 1924. (염상섭) 1925. (김소월) 1926. (이상화) . (한용운) 1928. (홍명희) 1931. (염상섭) 1932. (유치진) 1934. (유치진) 1935. (유진오) 1936. (김동리) . (김유정) . (박종화) 1939. (채만식) 1940. (김사량) 1941. (이태준) 1945. (이육사) 1946. (채만식) 1948. (윤동주) . (채만식) 1955. (조흔파) 1956. (손창섭) 1957. (강신재) . (송병수) 1958. (남정현) . (신상옥) . (전광용) 1959. (선우휘) . (최일남) 1960. (.. 2022. 2. 11. 중층사(middle-layer history): 19세기 3/4분기 이후의 대한민국 구조사_공간힘 <주피터 프로젝트>(2021.12.3-12.30) 아카이브 중층사(middle-layer history): 19세기 3/4분기 이후의 대한민국 구조사 1871. 미국, 통상요구하며 조선 침공, 신미양요 발생. 1875. 일본, 통상을 목적으로 조선 침공, 운요호 사건 발생. 1876. 일본,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통상 및 수교를 포괄한 강화도 조약 체결. 1882. 조선, 미국과 통상을 명문화하는 조미수호조약체결. . 임오군란을 이용한 척화파들의 쿠데타 실패로 청나라에의 의존 심화, 조선-청나라간 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 임오군란으로 인한 일본 측 소요에 대한 배상과 일본 공사관 경비병 주둔을 허용하는 제물포 조약 체결. 1884. 개화파의 갑신정변 실패로 조선에 대한 청, 일의 주도권 대립 심화. 1885. 갑신정변으로 인한 일본 측 소요에 대한 배상과 일본.. 2022. 2.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