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48

Lenin's Three Theoretical Arguments About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프롤레타리아트 독재에 관한 레닌의 세 가지 이론적 주장 Ivan Vladimirov, Foreigners in Leningrad(1937) 2017. 5. 20.
짧은 편지_"예술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3월 19일에 작성된 글 내색은 못했지만, 여러분들께서 ‘예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라는 화두에 나름의 대답들을 준비하려는 시도들을 하고 계신 것은 사실 제게 그 자체로 고무되는 일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뜬금없는 고백을 하자면, 이전에 집단오찬에 모인 몇몇 친구들과 의절하게 된 까닭은, 그들이 이에 대한 고민이 딱히 없어보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말하자면 그 친구들은 수시로 교체되는 미술계 내부의 시시콜콜한 가십과 전시들을 창의적으로 독해하는 데에 관심을 쏟으며, 세련된 작업을 통해 이전의 미술사조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미적사조를 제창하는 일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고 있었던 셈입니다. 저는 그 속에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연 그러한 ‘새로운 사조’라는 것이, 미술적 실천 내부의 어휘들과 담론들을 바탕.. 2017. 5. 11.
T.W.아도르노, <사회학 강의>, 세창출판사, 2014. 3강. 45-63p. 발제문 Olja på duk, Textilarbeterskor(1927) 핵심어: 사회, 실증주의, 객관적인 운동법칙, 현상, 본질, 부분, 전체, 개인, 사회, 매개 3장에서 중심적으로 다뤄지는 것은 (변증법적)사회학의 대상 설정과 사회학의 목표, 이를 통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우선 아도르노는 사회학의 대상들을 선택함에 있어 본질적인 것에 대한 파악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그러한 본질은 “확실한 직접성에 본질적인 물음들이 향하는 것보다도 훨씬 완벽하게 본질이 나타나는 현상들”(45)에서 나타날 것이라 말한다. 그에게 본질적인 것은 언제나 현상형태로써, 현상을 통해서 드러나야 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현상들 자체로는 환원되지 않는 무엇이며, 이는 그가 상정하는 개인과 사회, 주체와 객체의 대립에도 .. 2017. 5. 11.
김영환, <영국자유주의의 기원>, 혜안, 2013. 98-108p. 발제문 (인용절 각주 생략) Akvarell på papper, I Donbass(1925) 홍태영, "루이 나폴레옹의 제2제정과 1860년대의 정치적 자유주의", , 후마니타스, 2008. 8장 서브텍스트 신자유주의는 다른 자유주의의 기원과는 달리 자유방임의 자유주의에 대한 반발에서 나왔다. 신자유주의 사상의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그린T.H.Green은 벤담주의의 개인주의적 원칙에 대하여 의식적으로 공격했다. 자유방임의 자유주의가 산업화로 인해 생겨난 많은 사회문제들에 대해 국가의 특별한 역할을 부여하지 않았거나, 설혹 국가의 역할을 인정했다 해도 효율의 관점에서 관료적으로 접근했다면 신자유주의는 이런 문제들을 “자유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 자유는 “억압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무엇.. 2017. 5. 11.